전체기사보기
-
-
LG전자, 최고 수준 차량 사이버보안 인증…글로벌 전장 시장 공략 강화
-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LG전자가 업계 최고 수준의 차량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인 레벨3를 획득하며 글로벌 전장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LG전자는 최근 국제 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로부터 CSMS 레벨3 인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CSMS 인증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정해 인포테인먼트, 텔레매틱스 등 전장 제품의 설계, 개발, 소프트웨어, 생산 및 사후관리까지 전 과정에 보안이 제대로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모의 해킹 침투 테스트 등을 통해 철저하게 역량을 평가한다.
LG전자는 지난해 사이버보안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인증 받는 CSMS 레벨2를 획득한 바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번 인증을 통해 나날이 강화되는 글로벌 전장시장의 사이버보안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완성차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메이저 전장부품 공급사로서의 역량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
2024-12-04
-
-
한화시스템, 방사청과 2050억 규모 ‘천마 체계통합 PBL’ 계약
-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한화시스템이 방위사업청과 2050억원 규모의 ‘천마 체계통합 성과기반군수지원(PBL) 3차 사업’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사업은 육군의 장갑차에 탑재된 ‘단거리 지대공 유도 무기체계’인 천마의 운용 유지를 위한 PBL건이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이번 계약과 관련해 “기존에 공급했던 탐지∙추적 레이다 뿐만 아니라 사격통제장치와 차체까지 진행하는 체계 통합 PBL 계약을 성사시키며 국내 최고 MRO 전문업체로서 입지를 다시 한 번 공고히 했다”고 강조했다.
현재 군은 전시 작전지속능력과 전투준비태세 향상, 무기체계가 퇴역할 때까지 발생하는 유지보수 비용인 수명주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PBL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PBL 사업에서는 군과 업체간 신속한 커뮤니케이션과 운용 가동률·고장률 감소 등 데이터에 기반한 신뢰도 높은 성과 측정과 같이 효율적인 사업 관리를 위한 전산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사업에 자체 개발한 MRO 특화 플랫폼인 TOMMS를 적용한다.
TOMMS는 무기체계 운영유지 분야에서의 오랜 경험과 다수의 방산 전산체계 구축 경험을 보유한 한화시스템이 국내외 무기체계 운영 유지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MRO 표준 플랫폼이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수요 및 이상징후 예측, 고장·정비 트렌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무기체계가 최상의 전투준비태세를 갖출 수 있도록 돕는다.
-
2024-12-04
-
-
LIG넥스원, 美 일렉트론잉크스와 차세대 부품소재 공동개발
-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LIG넥스원이 미국 첨단소재 기업인 일렉트론잉크스와 차세대 부품 소재를 위한 공동 연구개발(R&D)에 나선다.
LIG넥스원은 3일 성남 판교R&D센터에서 일렉트론잉크스와 차세대 부품소재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복합 전도성 잉크 기반 차세대 부품소재 공동 연구 ▲정부 사업 수주를 위한 시제품 공동 개발 ▲방산 신소재 시장 공략을 위한 협업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복합 전도성 잉크는 전통적인 입자형 또는 페이스트형 잉크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재료로도 요구 성능을 충족해 높은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받고 있다.
LIG넥스원은 복합 전도성 잉크가 자사의 핵심 제품에 적용되면 부품 경량화 및 비용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2024-12-04
-
-
[직업군인 사용설명서(497] 지휘관은 이율배반(二律背反)적인 직책(상)
-
-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필자가 대대장 근무시에 담당했던 충청북도 청원군은 현재 청주시와 통합되었고 청원대대는 해체되었지만 당시에 필자의 청원대대는 14개 면대와 1개 기동대 그리고 8개 직장중대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때에는 각 면사무소의 지파출소에 설치된 예비군 무기고에 해당 면대의 상근예비역들이 24시간 경계근무를 하고 있었고 생활 및 근무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물론 상급부대는 대대장이 지파출소에 설치된 예비군 무기고 경계초소 야간순찰하는 것을 의무적으로 규정하거나 특별히 지시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전방의 GOP철책에서 근무하는 대대장들은 매일 야간순찰을 다니는 것처럼 비록 후방지역 향토사단이지만 대대장으로 근무하는 필자도 당연히 무기고 경계초소 야간순찰을 돌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대대장 취임 후에 야간 지파출소 무기고 순찰은 임기를 마칠 때까지 계속 감행했었다.
그러던 중 폭설이 내리며 혹한이 기습했던 겨울 어느날, 그날도 어김없이 새벽 3시에 관사앞에서 대기하던 짚차에 올라 지역 면대 지파출소 예비군 무기고 야간순찰을 위해 출발했다.
운전병의 빙판길 운행도 걱정이었지만 혹한 속에 24시간 경계근무에 임하는 상근예비역들의 열악한 환경과 동계 초병근무에 동상이나 난방에 대한 대비는 잘되어 있는지를 일일이 확인해서 다음날 지역 면대장에게 시정 지시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병원관리였다.
이렇게 매번 순찰한 덕분에 낭성면대의 예비군 무기고를 새롭게 신축하는 계기도 마련할 수 있었다. (다음편 계속)
-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