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Home >  방위산업
-
KAI, 대전연구센터 개소…KAIST와 상호 협력 MOU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KAIST에 KAI 대전연구센터를 열었다. 이와 함께 KAIST와 인재 양성, 연구개발 및 전략적 거점 확대 등 상호 협력 강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KAI 대전연구센터는 항공우주 사업역량 강화를 위한 대전 지역 거점 사무소와 공동협업 연구실로 활용된다. 19일 체결한 MOU를 통해 양 기관은 KAI 임직원 대상 미래 항공우주 인재 양성을 위한 KAIST의 학위·비학위 과정을 확대 운영하고, 인공지능(AI), 유무인복합 등 미래 신기술 관련 학술·기술·정보 교류를 통해 연구개발에 협력할 계획이다. 앞서 KAI와 KAIST는 항공우주 전문석사 과정을 24년부터 운영 중이며 미래 핵심기술을 위한 공동연구과제도 수행 중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대전연구센터 개소와 MOU 체결을 통해 우주솔루션과 AI기반 소프트웨어 분야 등 미래 사업 연구개발과 인재 양성에 더욱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글로벌 첨단기술 선도대학인 KAIST와 협력을 확대하여 국내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과 미래 경쟁력 확보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균민 KAIST 교학부총장은 “KAI와의 협력을 통해 항공우주 분야의 첨단기술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양 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여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할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창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센터 개소식에 앞서 강구영 사장은 KAIST에서 진행된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에 참석하여 New Aerospace를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고 KAI의 6대 미래 사업과 비전을 소개했다.
-
KAI, 미국 ‘쉴드 AI'와 파트너십...‘AI 파일럿’ 개발 가속화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미국 '쉴드 AI'와 파트너십을 맺고 인공지능(AI) 자율비행 검증에 나선다. KAI는 지난 5일 쉴드 AI와 무인항공기, 드론 등에 적용되는 AI 기반 자율비행 소프트웨어 '하이브마인드 엔터프라이즈(HME)'사용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계약은 쉴드 AI의 국내 공급사인 퀀텀에어로와 3자 간 진행됐다. 쉴드 AI의 HME는 무인항공기 드론에 임무 수행을 위한 자율성을 구축 및 평가, 검증하는 소프트웨어다. KAI는 HME를 활용해 독자적으로 개발 중인 AI 파일럿의 자유비행 기술을 검증하고 다목적무인기(AAP) 축소기에 통합하여 실증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 파일럿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전략이다. KAI 엔지니어들은 내달 미국 샌디에이고에 본사를 둔 쉴드 AI에 방문하며 교육을 받고 소프트웨어 활용 방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KAI는 올해 다목적 무인기(AAP) 축소기에 AI 파일럿을 탑재하여 기본 항법 및 장애물 회피 비행 및 표적인식 등을 실증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올해 출고를 준비하고 있는 AAP에 AI 파일럿을 탑재할 계획이다.
-
방사청·산업부·우주청, ‘민군 우주산업 표준화 포럼’ 출범…우주부품 국산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 첫 걸음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정부가 우주부품 국산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첫걸음을 내딛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민군 우주산업 표준화 포럼을 출범했다고 19일 밝혔다. 방위사업청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우주항공청은 공동으로 ‘민군 우주산업 표준화 포럼’을 구성하고 18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산학연 전문가 100여 명과 함께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 출범은 지난해 9월 3개 부처가 체결한 ‘우주산업 표준 및 인증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로 누리호와 다누리의 성공적 발사로 달성한 우주 강국 도약의 모멘텀을 산업 경쟁력 강화로 연결하기 위한 전환점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포럼은 3개 부처 국장급이 공동의장을 맡는 민군 협력 구조로, 정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용어표준 워킹그룹, 소자급 부품 워킹그룹, 수요대응 워킹그룹, 국제표준 분과 등 4개 실무조직을 갖추고 체계적인 표준화 활동을 시작한다. 이를 통해 한국형 우주산업 표준화를 위한 ‘우주 지식/정보 확산’, ‘부품스펙 정립’, ‘국내 제조부품 적용 확대’를 지원하고, ‘민군 우주산업 표준화 로드맵’을 마련하여 중장기 계획을 제시할 예정이다.
-
한화, 호주 조선·방위산업체 ‘오스탈’ 지분 9.9% 인수…추가 지분 투자도 요청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한화는 17일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호주 조선·방위산업체 ‘오스탈’의 지분 9.9%를 직접 매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오스탈은 미 해군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다. 미국내 소형 수상함, 군수지원함 시장점유율 40~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서호주 헨더슨과 미국 앨러바마주 모빌,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필리핀, 베트남 등에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는 이날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에 오스탈에 대한 19.9% 지분 투자 관련 승인도 동시에 신청했다. 이번 투자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60%와 40%의 지분을 보유한 호주 현지법인을 통해 진행했다. 한화 관계자는 “이번 지분 인수는 글로벌 방위산업과 조선산업의 호조 속에 오스탈과의 협력을 통해 한국, 호주뿐 아니라 미국까지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는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한국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선 바 있다. 마이클 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사업 총괄 담당 사장은 “한화는 오스탈사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방위 및 조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호주 현지 방위산업 및 해군 조선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그룹의 오스탈 지분 인수 추진 소식에 시장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화, 한화시스템, 한화오션 등 한화그룹 주요 계열사 주가가 오르고 있다.
-
방사청-창원시, '2025 대한민국 방산부품·소재 장비대전' 공동개최 협약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올해 '대한민국 방산부품·소재 장비대전'은 방위사업청과 창원시가 공동 개최한다. 오는 7월 9일부터 11일까지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릴 ‘방산부품·소재 장비대전’은 방사청이 2010년 이후 격년으로 무기체계 부품 개발을 촉진하고 방산 중소기업 제품의 우수성을 홍보하기 위해 개최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에서는 인공지능(AI)·무인 등 첨단기술과 접목한 고성능 부품·소재 개발 방향 등 국내 무기체계 부품산업의 미래 청사진이 제시될 계획이다. 행사 전시관은 ▲정부·지자체관 ▲육·해·공 전시관 ▲기업관 ▲벤처관 ▲체험관 등으로 구성된다. 방사청은 앞으로 성공적인 행사 개최를 위해 이달 중 행사용역업체를 선정하고, 4월 참가기업 모집을 공고할 예정이다. 김일동 방사청 방위산업진흥국장은 "이번 행사는 최초 시행되는 제1회 방위산업의 날과 연계해 추진되는 만큼 많은 국민들의 참여 속에서 우리가 개발한 고성능 부품·소재의 우수성을 소개하는 열린 마당이 될 것"이라며 "국내 방위산업이 더욱 활성화돼 수출 등 우수기업의 해외진출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
한화자산운용, 미국 방산 AI 스타트업 ‘Shield AI’ 2억4000만달러 규모 F-1 라운드 투자 참여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미국의 인공지능(AI) 기반 자율비행 방산 스타트업 ‘Shield AI(쉴드AI)’는 2억4000만달러(약3천490억 원) 규모의 F-1 라운드 투자에 한화자산운용이 참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쉴드 AI의 AI 기반 자율성 개발 플랫폼인 ‘Hivemind Enterprise (HME)’의 사업 확장과 기술 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기업 가치는 약 53억달러(약 7.5조원)로 평가받았다. 쉴드 AI는 인공지능(AI) 기반 자율비행 및 무인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는 미국의 방위산업 스타트업이다. 2015년 설립돼 자율비행 드론 및 AI 기반 자율성 개발 플랫폼인 ‘Hivemind Enterprise (HME)’를 중심으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V-BAT와 같은 수직 이착륙 무인 항공 시스템(UAS)을 통해 미군과 동맹국에 첨단 정찰 및 정보수집 능력을 제공한다.
실시간 방위산업 기사
-
-
러시아, 차세대 전투기용 무선 광자 레이더 개발 중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러시아의산업지주회사 RTI사가 최근 6세대 전투기용 무선 광자 레이더를 제작하기 위한 신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국방기술품질원이 밝혔다.
-
- 방위산업
- 종합
-
러시아, 차세대 전투기용 무선 광자 레이더 개발 중
-
-
[한국무기 디테일] ⑯ 한화디펜스와 현대로템의 차륜형 장갑차
-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총괄 에디터) 국제방위산업전시회인 ‘디펜스 아시아(Defense Asia) 2006’이 2006년 10월 충남 계룡대에서 개최되었다. 이 당시 전시장에서 가장 큰 부스를 차지한 국내 방산업체들은 기동 및 화력장비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두산인프라코어(현 한화디펜스), 삼성테크윈(현 한화지상방산), 로템(현 현대로템) 등 3사였다.
-
- 방위산업
- 한국무기 디테일
-
[한국무기 디테일] ⑯ 한화디펜스와 현대로템의 차륜형 장갑차
-
-
(주)빅텍, 하반기 신입사원 및 경력사원 공채 모집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대표적인 방산 중견기업 중 하나인 (주)빅텍이 하반기 신입사원과 경력사원을 공채한다. 모집부분은 연구개발, 구매, 품질경영, 생산기술, 생산(방산제품 제조), 생산관리 등 6개 부문이다.
-
- 방위산업
- 종합
-
(주)빅텍, 하반기 신입사원 및 경력사원 공채 모집
-
-
LIG넥스원, 한양대와 국방·해양산업 핵심기술 공동 연구개발 추진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LIG넥스원과 한양대학교가 국방 및 해양산업의 핵심기술 발전을 위한 산학협력을 본격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
- 방위산업
- 종합
-
LIG넥스원, 한양대와 국방·해양산업 핵심기술 공동 연구개발 추진
-
-
[전문가 분석]마린온 헬기 추락 사고의 4대 '미스터리' 풀어야
-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총괄 에디터) 국산헬기 수리온을 해병대용으로 개조한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17일 시험 비행 도중 지상 10m 상공에서 추락하여 심각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
- 방위산업
- 전문가 분석
-
[전문가 분석]마린온 헬기 추락 사고의 4대 '미스터리' 풀어야
-
-
해병대의 자랑 ‘마린온’헬기 의문의 추락
- ▲ 17일 오후 4시 45분께 경북 포항시 남구 포항 비행장 활주로에서 추락한 마린온(MUH1) 헬기와 같은 기종 헬기. 사진은 지난 1월 해병대 1사단 항공대가 인수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헬기 모습. 첫 국산상륙기동헬기인 ‘마린온’ 2호기 시험비행중 추락, 탑승자 6명중 5명 사망 미국상륙기동헬기 대체하려던 해병대 계획에 차질 생겨 KAI가 수리온을 개조해 만들어, 해병대는 2028년까지 28대 도입 계획 (시큐리티팩트=전승혁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제작한 국산 상륙기동헬기(MUH-1)인 '마린온(MARINEON)' 2호기가 시험 비행 도중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추락했다. 이 헬기는 지난 1월 10일 경북 포항 해병대 1사단 항공대에서 해병대가 인수식을 했던 마린온 1·2호기 중의 하나다. 인수식 6개월 만에 참사가 난 것이다. 이날 사고로 탑승자 6명 가운데 5명이 사망하고 1명은 중상을 입었다고 해병대는 전했다. 사고 헬기는 오후 4시 46분경 포항 비행장 활주로에서 정비 후 이륙해 시험비행 중 지상 약 10m 상공에서 추락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 마린온은 해병대가 도입한 첫 상륙기동헬기의 명칭으로, 해병대를 뜻하는 '마린(MARINE)'과 '수리온(SURION)'을 합성한 이름이다. 수리온은 한국형 기동헬기를 지칭하며 마린온은 수리온를 개조해 만든 헬기이다.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2013년 상륙기동헬기 개발에 착수해 2015년 1월 처음 비행했다. 이어 함정·해상 환경의 비행 성능 검증을 거쳐 2016년 1월 개발을 완료했다. 수리온을 기반으로 한 마린온에는 함상 운용을 위해 주 로터(헬기의 회전익 부분) 접이 장치가 추가됐다. 지상·함정 기지국과의 교신을 위한 장거리 통신용 HF 무전기, 전술항법장치, 보조연료탱크 등도 탑재됐다. 최대 순항속도는 시속 265㎞에 달하고 2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다. 7.62㎜ 기관총 2정을 장착하고 있으며 최대 탑승 인원은 9명이다. 마린온 1·2호기는 훈련 비행과 최종 임무 수행능력 평가 등을 거쳐 해병대 1사단 항공대에 실전 배치될 예정이었다. 해병대는 마리온 헬기 2대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모두 28대를 도입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한미연합작전을 통해 미군 상륙기동헬기에 의존해야 했던 해병대는 마린온 인수로 45년 만에 항공전력을 보유하게 된 상황에서 이번 사고를 당했다.
-
- 방위산업
- 국내방산
-
해병대의 자랑 ‘마린온’헬기 의문의 추락
-
-
방위사업청, 방산 분야 좋은 일자리 창출과 중소·벤처기업 육성에 앞장서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방위사업청은 17일 방위산업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고 중소·벤처기업 및 수출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방위산업 육성 지원사업 공통 운영규정’을 다음과 같이 개정했다고 밝혔다.
-
- 방위산업
- 종합
-
방위사업청, 방산 분야 좋은 일자리 창출과 중소·벤처기업 육성에 앞장서
-
-
[한국무기 디테일] ⑮ 국내 독자 개발한 명품무기, 한화디펜스의 K21 보병전투장갑차(IFV)
-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총괄 에디터) K21은 보병수송용인 K200과는 달리 ‘탑승전투’의 전술개념을 도입한 보병전투장갑차(IFV : Infantry Fighting Vehicle)로서 국내에서 독자 개발한 명품무기다. 미국의 M2A3, 러시아의 BMP-3 장갑차와 비교하더라도 우수한 성능을 갖춘 최신예 장갑차로서 중량도 가볍고 가격 경쟁력도 뛰어나다.
-
- 방위산업
- 한국무기 디테일
-
[한국무기 디테일] ⑮ 국내 독자 개발한 명품무기, 한화디펜스의 K21 보병전투장갑차(IFV)
-
-
지체상금 상한 30%까지 부과로 공공조달 참여기업 부담 대폭 완화 추진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국방부와 기획재정부 및 방위사업청은 공공조달에서 지체상금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법령 개정을 추진한다고 지난 13일 밝혔다.
-
- 방위산업
- 종합
-
지체상금 상한 30%까지 부과로 공공조달 참여기업 부담 대폭 완화 추진
-
-
민간과 국방,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벽을 허무는 노력 시작
-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민간과 국방 간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벽을 허물기 위해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
- 방위산업
- 종합
-
민간과 국방, 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벽을 허무는 노력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