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사이버보안
Home >  사이버보안  >  종합

실시간 종합 기사

  • KAI, ‘AI 파일럿’ 이름 공모전 개최
    [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KAI(한공항공우주산업)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파일럿 네이밍 공모전을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KAI가 개발 중인 AI 파일럿의 가치를 제고하고 미래전장의 게임 체인저로서 대표할 수 있는 고유의 이름을 만들고자 하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공모전은 이날 공고를 시작으로 오는 31일 자정까지 4주간 접수한다. AI 파일럿의 특징을 반영한 명칭이라면 전 국민 누구나 공모전 응모 페이지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총 1천만원 상당의 상금과 상품이 수여된다. 선정된 결과는 2월 말에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개별 통지할 예정이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5-01-06
  • 안랩, 창립 30주년 맞아 ‘월드 클래스’ 기업 도약 선언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안랩이 창립 30주년을 맞는 2025년을 ‘월드 클래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의 원년으로 선언했다. 강석균 안랩 대표는 2일 시무식에서 “올해도 빠르게 변화하는 사업환경과 새로운 사업기회에 임직원 모두가 유연하게 대응해야 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리의 경영방침과 ‘지속적인 계획과 지속적인 실행’으로 창립 30주년을 맞은 2025년을 ‘월드 클래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의 원년으로 만들자”고 말했다. 이날 안랩은 판교 안랩 사옥에서 2025년 시무식을 개최하고 승진인사를 단행했다. 시무식 행사에서 강 대표는 글로벌 경제 및 사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새로운 사업 기회에 유연하게 대응해 나가기 위한 2025년 경영방침 및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강석균 대표는 기존에 실행 중인 ‘안랩 ReGenerate PLUS(리제너레이트 플러스)’ 경영방침을 유지하며,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에 대한 기민한 대응 체계를 지속할 것을 제시했다. 그는 경영방침에 맞춰 ▲WORLD CLASS(월드 클래스) 기업 도약 ▲AI 확대 적용 ▲차세대 보안 모델 고도화 ▲세일즈 전략 고도화 ▲지속가능한 성장 및 오픈 이노베이션 확대 등을 주요과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전무 승진자 1명과 상무 승진자 1명, 상무보 승진자 3명 등 임원 승진 인사도 단행했다. ▲전무 승진 (상무→전무) 이상국 마케팅&글로벌사업부문장 ▲상무 승진 (상무보→상무) 류창하 전략기획실장 ▲상무보 승진 김건우 코어개발실장 김창희 제품기획본부장 이상구 디지털혁신실장
    • 사이버보안
    • 종합
    2025-01-03
  • 삼성SDS, “IDC 인정 국내 클라우드 No.1 클라우드 사업자”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삼성SDS가 국내 최고 클라우드 사업자로 공인됐다. 2일 삼성SDS에 따르면, 삼성SDS는 글로벌 IT 시장 조사기관 IDC가 발표한 2023년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서비스(MSP)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1위를 차지했다. IDC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의 사업 성과를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 및 경쟁 동향을 분석하여 마켓셰어 보고서를 발표한다. IDC는 이번에 최초로 발표한 국내 매니지드 클라우드 사업자(MSP) 평가에서 삼성SDS가 시장점유율 23.9%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MSP사업자는 기업 고객의 클라우드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관련한 네트워크와 인프라 관리, 보안 및 모니터링 등을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SDS는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관계사와 대한항공, 한화생명 등 제조, 금융, 유통 분야 고객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전환 및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전년 대비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강조했다. 삼성SDS는 2023년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CSP) 마켓셰어 보고서’에서 2위에 올랐다. 시장점유율 11.0%로 AWS에 이어 2위(글로벌 기업 포함)이자 국내 클라우드 회사로는 1위다. IDC는 삼성SDS가 삼성 관계사를 비롯한 공공, 제조, 금융 등 고객의 시스템을 SCP(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고 전했다. 삼성SDS는 CSP, MSP, SaaS 등 클라우드 전 영역에서 공격적으로 사업을 전개하며 2024년 3분기까지 1조7천238억 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 한편 삼성SDS는 지난해 6월 발표된 ‘IDC 마켓스케이프: 월드와이드 클라우드 프로페셔널 서비스 2024 벤더’ 보고서에서 주요 사업자인 ‘메이저 플레이어(Major Player)’에 선정되었다.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IBM, 델, KPMG 등 글로벌 탑티어 IT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IDC 마켓스케이프는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뿐만 아니라 3~5년 후의 비즈니스 전략과 고객군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해당 분야 기업들을 평가하여 발표하는 보고서다. IDC는 보고서에서 삼성SDS의 차별화된 컨설팅, 클라우드 전환/구축 서비스,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강점으로 지목했다. 사업전략과 임직원의 역량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 이정헌 삼성SDS 전략마케팅실장(부사장) “그동안 쌓아온 IT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과 클라우드, 생성형 AI 여정을 함께하는 전략적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5-01-02
  •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 ‘한화비전’으로 새 출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가 1일자로 자회사 한화비전을 흡수 합병하고 사명을 ‘한화비전’으로 변경했다고 2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해 10월 31일 합병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12월 13일 임시 주주총회를 통해 사명 변경을 확정 지은 바 있다. 이번 합병에 따라 한화비전은 자체 시큐리티 사업과 함께 한화정밀기계와 기타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해외 법인들을 100% 자회사로 둔 통합 법인이 됐다. 한화비전은 미국, 유럽, 아시아 등에서 글로벌 보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첨단기술을 기반으로 매년 1조원 이상의 매출과 두 자릿수의 높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기반의 보안 솔루션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등 미래 성장 동력도 키워가고 있다. 한화비전 관계자는 “통합 법인을 통해 첨단기술 연구개발(R&D) 강화는 물론 여러 분야에서 신규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글로벌 기술 시장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5-01-02
  • NHN엔터프라이즈, 새해 시장 공략 무기는 클라우드 플랫폼 ‘앱파스’ 업그레이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NHN엔터프라이즈가 새해 시장 공략 무기로 클라우드 플랫폼 '앱파스(AppPaaS)'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전략을 30일 제시했다. 앱파스는 클라우드 인프라 이용 고객에게 ‘세상에서 가장 쉬운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한다’라는 모토 하에 지난 4월 베타 서비스로 출시된 클라우드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빌드, 배포부터 모니터링까지 모든 기능을 올인원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역량이 없어도 서비스 개발환경 및 인프라 조성 등에 필요한 절차를 4번의 클릭만으로 해결할 수 있어 고객사가 시간과 비용 부담 없이 온전히 콘텐츠 및 서비스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NHN엔터프라이즈는 내년에 앱파스 업그레이드를 통해 개인 개발자(B2C) 및 중소·중견기업(SMB) 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김동훈 NHN엔터프라이즈 대표는 “앱파스 베타 서비스를 출시한 이후 고객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표로 삼아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전개해왔다”며 “2025년에는 앱파스의 특장점을 극대화하는 데 심혈을 기울여 기존 B2C 및 SMB, 나아가 엔터프라이즈 고객사에도 유용한 서비스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30
  • “2025년 AI 등 신기술로 IT 보안 위협 증가” 전망…SGA솔루션즈 전망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SGA솔루션즈가 30일 ‘2025년 사이버 보안 전망’을 발표했다. 회사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확산 등 신기술로 인한 보안 위협이 IT 전반에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회사는 보고서에서 신종 스미싱인 ‘큐싱(Q-shing)’ 피해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큐싱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QR코드가 보편화된 점을 악용한 피싱 범죄다. 악성 웹사이트 이동 또는 악성 코드 설치로 정보를 탈취한다. 이에 대해 SGA솔루션즈는 QR코드 스캔 시 이동되는 주소와 파일 다운로드 요청을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더불어 QR코드 보안 강화를 위해 트러스트라벨 같은 보안 라벨 도입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년도에도 AI 등 IT 신기술에 따른 클라우드 보안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자동화를 통해 위협 탐지 및 대응이 가능하고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 특화된 통합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SGA솔루션즈는 ‘AI의 그림자, AI 기반 사이버 공격의 증가’를 제시했다. AI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이를 악용하는 범죄가 급증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랜섬웨어, 피싱 공격은 더 빠르게 고도화됐다. 피싱 이메일과 딥페이크는 더 정교하고 초개인화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SGA솔루션즈는 미확인 위협을 탐지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AI 차세대 엔드포인트 백신 사용을 권장했다 이 밖에 제로 트러스트의 확산,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기반 ID 보안 위협 증가,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증가를 전망했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30
  • 안랩, '안랩TIP'에 OT·ICS 특화 콘텐츠 카테고리 추가…위협 정보 고도화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안랩이 자사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안랩 TIP’에 OT·ICS 특화 콘텐츠 카테고리를 신규 추가하는 등 위협 정보를 고도화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고도화한 주 내용은 ▲OT·ICS 특화 콘텐츠 카테고리 추가 ▲침해지표(파일, URL, IP 등) 조회 시 연관 CVE 취약점 코드 제공 ▲안랩 TIP 위협정보 기반 연간 보고서 발간 등이다. 안랩은 OT·ICS 환경 주요 위협 관련 주간 보고서를 통해 사회기반시설·스마트팩토리·생산설비 등 OT(운영 기술) 및 ICS(산업제어시스템) 환경에 특화한 다양한 보안 위협 콘텐츠를 제공한다. 안랩은 OT 및 ICS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협에 대한 침해 지표 수집 정보 및 연관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확대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김창희 안랩 제품서비스기획실장은 “안랩 TIP는 자사의 다양한 보안 솔루션 및 플랫폼과 연동되어 관련된 보안 위협 정보를 폭넓게 제공하는 안랩의 ‘보안위협 콘텐츠 포털’”이라며, “안랩은 안랩 TIP의 위협 인텔리전스를 꾸준히 강화해 고도화되는 보안위협에 대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인사이트를 고객에게 지속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27
  • 과기정통부, 양자정보기술 국가표준 1호 제정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내 양자분야 최초로 국가표준을 제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국가표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미래양자융합포럼, 양자기술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퀸사(QuINSA) 등 정부, 학계, 산업계가 협력하여 개발했다. 국가표준 제정을 위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전문위원회를 구성해 기술 검토를 진행한 후 약 2개월간의 행정예고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후 기술심의회와 표준 심의를 거쳐 27일 최종적으로 국가표준을 제정(고시)했다. 이번 국가표준은 양자 키 분배 연결망(네트워크)의 개념과 기능 정의, 서비스 품질 평가 항목을 규정하는 등 양자정보기술의 상용화에 필수적인 기술 기반을 체계적으로 확립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2022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상용화하고 세계 시장 선점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국제표준화기구(ITU-T) 등에서 국제표준 정립에 참여해 왔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27
  • 롯데이노베이트, AI 개발 플랫폼 '인피디아 스튜디오' 출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롯데이노베이트는 27일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자원 관리와 인공지능(AI) 모델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통합 AI 개발 플랫폼 ‘인피디아 스튜디오(INFIDEA Studio)’을 선보였다. ‘인피디아 스튜디오’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고성능 GPU를 유연하게 할당 받아 사용할 수 있고, 개발에 필요한 주피터랩 등 다양한 작업 도구를 ‘웹 UI’기반으로 제공해 편의를 돕는다. 이 플랫폼은 AI 모델의 개발부터 배포, 그리고 추론까지의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ML옵스를 지향한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엔비디아의 MIG(Multi-Instance GPU) 기술을 활용해 하나의 GPU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로 나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GPU의 사용률을 극대화하고, CPU와 RAM의 성능도 설정하는 등 다양한 컴퓨팅 리소스 프리셋을 구성할 수 있어 한정된 자원을 최적화할 수 있다. 중요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을 우선 할당할 수 있다. 또 스토리지 기능을 통해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적합한 GDS(GPU Direct Storage)와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IBM 스토리지 스케일, 웨카(Weka) 등과 같은 다양한 GDS 벤더 지원이 가능하다.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같은 일반적인 스토리지도 지원한다. 롯데이노베이트는 향후 인피디아 스튜디오에서 추론 API 자동 배포 기능을 지원하는 등 개발자 간 협업을 위한 다양한 보조 도구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27
  • 웹케시글로벌-비에스지원, 베트남 기업 대상 디지털 혁신 사업 제휴 체결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웹케시글로벌은 비에스지원과 베트남 내 디지털 전환 및 전자금융 사업 확대를 위한 전략적 사업 제휴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웹케시글로벌의 자금 관리 솔루션 ‘WeCMS’와 글로벌 ERP 솔루션 ‘SAP ERP’를 연계해 제조·운영 및 자금 데이터를 통합하고,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 중복 입력 방지 등 디지털 프로세스 혁신과 비용 절감을 실현해 베트남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해 간다는 방침이다. 웹케시글로벌과 비에스지원은 베트남 시장에서 제조·유통업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들이 두 회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운영 효율화와 자금 관리 혁신을 이루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사이버보안
    • 종합
    2024-12-26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