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Home >  사이버보안 >  종합
-
교황청, 삼성 모바일 보안 플랫폼 ‘녹스 스위트’ 선택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교황청을 지키는 교황청 근위대가 디지털 보안 환경 강화를 위해 삼성전자 보안솔루션을 선택했다. 삼성전자는 뉴스룸을 통해 교황청 스위스 근위대가 경호시스템에 삼성 모바일 보안 플랫폼 '녹스 스위트'를 활용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교황청 스위스 근위대(Guardia Svizzera Pontificia, 이하 교황청 근위대)는 교황과 바티칸 시국의 교황궁을 보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바티칸 시국은 하루 평균 2만5천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곳이다. 과거에는 창으로 교황을 지켰지만 지금의 교황청 근위대는 전술과 기술을 현대화하면서 디지털 경호 체제를 구축했고, 특히 근위대 통신망은 바티칸의 사도 기록 보관소만큼 철저한 보안을 요구하게 됐다. 이런 새로운 환경에서 교황청 근위대가 선택한 것이 강력한 모바일 기기 관리 플랫폼인 ‘녹스 스위트(Knox Suite)’라는 게 삼성전자측 설명. 녹스 스위트는 맞춤 서비스가 가능해 근위대가 사용하는 기기를 쉽게 배치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교황청 근위대의 시스템 관리자가 모든 경호 기기의 위치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기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했을 때 데이터를 원격으로 지울 수도 있다. 녹스 스위트는 교황청 근위대 내부 조직에 변화가 있을 때 기기의 구성과 기능을 새로운 사용자에 맞춰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경호상 위협이 예상되는 경우 교황청 근위대가 보유하고 있는 여러 기기에 위협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고, 순찰 리더는 모든 구성원의 배치 상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긴급 상황 대처에 효과적이다. 교황청 근위대는 보안을 최우선 고려하면서도 제품의 내구성 또한 중요하게 생각했다. 갤럭시 엑스커버 프로, 갤럭시탭 액티브 시리즈 등 견고함에 초점을 맞춘 갤럭시 러기드 제품들은 IP68 등급으로, 물과 먼지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고 웬만한 충격에도 끄떡없다. 특히 갤럭시 탭 액티브2는 근위대 복장을 고려해 장갑을 낀 상태에서의 터치감이 향상되었고, 배터리 또한 오래 지속되는 동시에 쉽게 교체할 수 있어 비상상황에서 긴요하다. 또 갤럭시 탭 액티브3는 보다 선명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무전 통신 방식인 ‘푸시 투 토크(Push to talk)’ 등 중요한 순간에 즉시 접근할 수 있는 특수 키 등이 탑재되었다. 모니터나 TV와 연결하면 마치 PC를 쓰는 것 같은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삼성 덱스(Samsung DeX)를 통해 업무 편의도 지원한다. 삼성전자 측은 “녹스 스위트가 혹시 모를 제품의 문제 발생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도 수백 년의 역사를 가진 근위대의 선택을 받는 이유가 되었다”고 말했다.
-
오토닉스, AI 반도체 스타트업 모빌린트와 MOU 체결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오토닉스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신경망 처리장치(NPU) 설계 전문 스타트업 모빌린트와 ‘AI NPU 기반 제품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오토닉스는 비전센서, 세이프티, SCADA 등 산업 자동화 분야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과 소프트웨어를 보유하고 있다. 산업 공정 전반에 걸친 통합 솔루션으로 스마트 팩토리 부문에 주력하고 있다. 모빌린트는 자동차, 로봇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는 AI 반도체 신경망 처리장치인 NPU를 공급하는 스타트업이다. 이번 업무 협약으로 오토닉스는 산업용 제품 및 소프트웨어 핵심 기술에 AI를 접목해 인공지능 기반의 다양한 자동화 제품을 단계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제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생산 공정 자동화는 물론, 생산성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이번 업무 협약은 AI 기술 내재화 및 고도화로 오토닉스의 경쟁력을 한 단계 점프할 좋은 기회”이며 “앞으로도 전자 기반, ICT 맥락에서 다양한 기술 기업과 협업해 자동화 산업의 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트렌드마이크로, “주요 의사결정자, 사이버 보안 역할 축소해 인식하는 경향 있어”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트렌드마이크로는 전세계 26개국 기업 의사결정권자 2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글로벌 설문조사 ‘위험과 보상(Risk and Reward)’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사결정권자는 사이버 보안을 비즈니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3분의 2(64%)가 2023년에 보안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으나 사이버 보안과 비즈니스 간의 관계 이해에 대해서는 양극화된 견해를 보였다. 응답자의 51%가 사이버 보안은 필수 비용이나 수익에는 기여하지 않는다고 인식했다. 48%는 사이버 보안의 효용이 사이버 공격과 위협 방지에 국한된다고 답했다. 38%는 사이버 보안을 비즈니스에 대한 장애물로 간주하기도 했다. 잠재 고객과 공급업체가 협상에서 보안을 우선시함에도 불구하고 사이버 보안과 고객 확보 및 만족도 간의 연관성을 ‘강함(Strong)’ 또는 ‘매우 강함(Very Strong)’이라고 평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자 비율은 57%에 그쳤다. 사이버 보안과 비즈니스 간의 상호 연결성에 대한 이해 격차는 인재 확보 영역에서도 확인됐다. 응답자의 71%가 인재 확보 경쟁에서 ‘어디서나 근무’ 여부가 중요하다고 답했으나, 사이버 보안과 직원 유지 및 인재 유치 사이의 연관성이 강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각각 42%와 43%로 나타났다. 심지어 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 83%는 현 보안 정책이 네트워크 및 정보 액세스 문제에 따른 업무 속도 저하와 같이 원격 근무 직원의 업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43%는 현 보안 정책이 직원의 재택/원격 근무 여부를 제한한다고 답했다. 의사결정권자 54%는 현 사이버 보안 정책이 직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을 제한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존 클레이 트랜드마이크로 위협 인텔리전스 부사장은 "비즈니스 리더는 보안 영역 투자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이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폭넓게 생각해야 한다”며 “이번 설문 조사는 사이버 보안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인재 확보에 필수 요소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여전히 보안에 대한 고정관념이 최고위층에서 존재함을 나타내 우려를 야기한다”고 말했다.
-
엔씨소프트, 美 GDC 2023에서 신작 게임과 디지털 휴먼 소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엔씨소프트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GDC 2023)에참가해 신작 ‘프로젝트M’의 트레일러와 디지털 휴먼 기술을 최초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윤송이 엔씨 CSO(최고전략책임자)는 에픽게임즈 언리얼 엔진의 새로운 툴(도구)과 기술을 활용한 신작 게임 ‘프로젝트M’과 디지털 휴먼을 소개했다. 윤 CSO는 “‘프로젝트M’은 엔씨소프트의 혁신적인 AI와 그래픽 기술력을 집약해 개발 중인 신작”이라며 “언리얼 엔진5에 엔씨소프트의 AI 기술력을 더해 ‘프로젝트M’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공개한 프로젝트M의 트레일러 영상에는 엔씨소프트의 게임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김택진 CCO(최고창의력책임자)가 ‘디지털 휴먼’으로 등장해 프로젝트M의 세계관과 플레이 콘셉트를 설명했다. 영상 속 디지털 휴먼은 엔씨소프트의 AI 기술에 아트, 그래픽 등 비주얼 기술 역량을 결합해 제작됐다. 영상의 모든 대사는 AI 음성 합성 기술인 ‘TTS(Text-to-Speech)’로 구현했다. 또 가상인간의 표정과 입술 모양도 대사나 목소리에 따라 상황에 맞는 얼굴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보이스 투 페이스'(Voice to Face) 기술을 활용했다. 프로젝트M은 액션 어드벤처 신작으로 콘솔 플랫폼 게임이다. 모션캡처, VFX(시각특수효과) 등 엔씨소프트의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실사 수준의 고품질 그래픽으로 개발 중이다.
-
시큐레터, 국내 사이버 보안 기업 최초로 사우디 투자부와 MOU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악성코드 탐지 및 차단 전문기업 시큐레터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BIBAN 2023’에 참여해 국내 보안 기업 최초로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MISA)와 MOU를 체결했다. 투자부 관사에서 열린 MOU 체결식에는 칼리드 알 팔레(Khalid Al-Falih) 사우디 투자부 장관, 안와르 알샴마리(Anwaar M. Alshammari) 투자부 수석법률고문,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참석했다. 이번 MOU로 시큐레터는 투자부로터 현지 사업 확장에 필요한 컨설팅 및 정보를 제공받고 긴밀한 협력을 통해 중동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MOU 성공에는 국내 유망 기업의 중동 진출 및 글로벌 자본 유치를 지원하는 중소기업벤처부, 한국벤처투자(KVIC)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BIBAN 2023은 지난 9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된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규모 국제 콘퍼런스로 사우디아라비아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전 세계 550개 글로벌 기업, 10만 명 이상의 참관객이 참여했다. 시큐레터는 이번 행사에서 중소기업벤처부와 함께 참여하는 10개 기업에 선정돼 전시부스를 운영했다. 국내 참여 기업 중 유일한 사이버 보안 기업으로 참여한 시큐레터는 독자 개발한 ‘자동화된 리버스 엔지니어링 기술’을 선보였으며 정부 및 공공, 금융, IT 등 다양한 기업의 주목을 받았다. 한편 시큐레터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PIF(Public Investment Fund)가 국가 전체 정보보안을 관리하고자 세운 국영 기업 SITE와 IT 서비스 전문 기업 TCC, 사우디아라비아 최초 IT 상장 기업인 MIS 등과 사업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임차성 시큐레터 대표는 “사우디아라비아 RVC 투자 유치 후 현지에서 사업기회를 얻고자 노력한 결과가 사우디아라비아 핵심 기업과의 사업협력으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중동 시장에서 시큐레터 기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중동 시장을 발판으로 미국 시장으로도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팔로알토 네트웍스, AI 기반 자동화 강화로 보안 성과 향상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자사의 보안 접근 서비스 엣지 솔루션 ‘Prisma® SASE(프리즈마 새시)’에 AI 기반 자동화 기능을 더해 보안 성과를 높이고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22일 밝혔다. 가트너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기업의 80%가 SASE/SSE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웹, 클라우드 서비스 및 프라이빗 애플리케이션 액세스를 통합하는 전략을 채택할 전망으로, 2021년의 20%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이다. Prisma® SASE는 자율진단 디지털 경험 관리 기능(ADEM)을 탑재해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엔드-투-엔드 가시성을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고객은 ADEM 기능에 AIOps를 추가함으로써 복잡한 IT 환경 및 네트워크 운영센터 기능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MTTR(평균복구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어플라이언스 및 에이전트를 구매하지 않고 AIOps를 구현함으로써 ▲AI 기반 이슈 감지 및 예측 분석을 통해 서비스 중단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 ▲사용이 간편한 쿼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 요소를 신속하게 격리 ▲단일 대시보드에서 네트워크 이상 징후를 쉽고 빠르게 발견하는 이점을 누릴 수 있다. SASE 솔루션은 SD-WAN과 클라우드 기반 시큐어 서비스 엣지(SSE)를 통합해 관리를 간소화하고, 일관된 가시성을 확보하는 한편 AI/ML을 통해 스마트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Prisma SD-WAN 커맨드 센터 ▲IoT 보안 통합형 Prisma SD-WAN ▲SD-WAN을 위한 구축형 컨트롤러 등 새로운 혁신을 담은 SD-WAN 오퍼링 3가지를 함께 공개했다.
실시간 종합 기사
-
-
마인즈앤컴퍼니-버드온, 인공지능(AI) 기반 중환자 위험도 예측 솔루션 개발·검증·사업화 추진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마인즈앤컴퍼니는 의료 AI 기업 버드온과 인공지능 기반 중환자 위험도 예측 솔루션 개발·검증·사업화를 추진한다. 마인즈앤컴퍼니는 ‘AI 기반 ICU 환자 위험도 예측 솔루션 개발과 검증 및 사업화: SAVE-U Project’가 재단법인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단으로부터 우수 성과 과제로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SAVE-U Project’는 중환자실(ICU)에서 수집되는 생체신호를 바탕으로 환자의 급격한 상태 변화를 조기 감지하고, 의료진에게 위험 상황을 경고하는 AI 모델의 개발과 사업화를 추진하는 과제다. 2020년부터 진행돼 온 SAVE-U 프로젝트는 마인즈앤컴퍼니와 버드온에 더해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이 함께하고 있다. 솔루션의 개발은 물론 상용화까지 성공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마인즈앤컴퍼니는 2023~2024년 진행되는 2단계 사업을 주관하면서 제품 출시까지 책임지고 진행한다. 버드온의 기술로 분석된 중환자의 생체 신호와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한 뒤 소프트웨어 및 의료기기로 완성해 사업화하는 것이 마인즈앤컴퍼니의 마스터플랜이다. 이미 버드온과 마인즈앤컴퍼니는 실시간 수집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기반해 의사별로 맞춤형 경고를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2등급 의료기기 인허가를 획득했다. 앞으로는 환자의 위험 상황을 예측해 경고를 제공하는 AI 모델의 임상 시험을 진행한 뒤 모바일 앱과 통합함으로써 정보의 정확성과 유용성, 활용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다. 전상현 마인즈앤컴퍼니 대표는 “SAVE-U 프로젝트는 호흡부전, 섬망과 같은 중환자의 주요 상태 변화를 의료진이 적시에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이는 의료진의 적절한 치료로 이어져 환자들의 예후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만성적인 인력 부족 문제를 겪는 중환자실 의료진의 업무 과부하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마인즈앤컴퍼니-버드온, 인공지능(AI) 기반 중환자 위험도 예측 솔루션 개발·검증·사업화 추진
-
-
베스핀글로벌,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옵스나우360’ 출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베스핀글로벌은 자동화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원스톱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옵스나우360(OpsNow360)’을 출시한다고 6일 밝혔다. 옵스나우360은 베스핀글로벌이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서 축적해 온 수년간의 경험과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옵스나우’를 직접 개발하고 운영해 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롭게 선보인 CMaaS(Cloud Management as a Service) 제품이다. 한마디로 운영 관리에 필요한 전 도구와 데이터를 통합해 모든 클라우드 관련 업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품이다. 한 번의 로그인으로 멀티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자원관리 ▲비용 최적화 관리 ▲비용 거버넌스 구현 ▲데브옵스 자동화 ▲보안 형상 관리 ▲헬프나우(챗봇, 콜봇, AICC 구축 및 운영) ▲인시던트 관리 ▲IoT 올인원 서비스 등 베스핀글로벌의 자체 솔루션과 연동 가능한 타사 솔루션까지 확장해 이용할 수 있다. 이 제품은 여러 위젯으로 구성된 대시보드를 통해 필수 기능 위젯 외에도 즐겨찾기, 일자별 알람, 컨테이너 상태 등 이용자가 스스로 원하는 지표의 위젯을 추가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배치도 가능하다. 또한, 한 번의 인증으로 통합 및 확장된 여러 제품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각자의 조직과 환경에 맞는 맞춤형 구성도 가능하다. 더불어 담당자가 조직이 구독하고 있는 상품의 목록과 현황, 청구서 등을 직접 조회하도록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는 “옵스나우360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클라우드 운영 관리에 있어, 고객이 가장 필요한 기능을 가장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라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베스핀글로벌, 멀티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옵스나우360’ 출시
-
-
니어재단, 업계 최초 블록체인 운영체제(BOS) 출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니어 재단(NEAR Foundation)은 자체 블록체인 레이어1인 ‘니어 프로토콜’이 업계 최초로 BOS (Blockchain Operating System)를 도입한다고 3일 밝혔다. 니어 프로토콜은 빠른 속도, 높은 보안성 그리고 뛰어난 확장성이 특징인 레이어1 블록체인이다. BOS는 모든 블록체인 플랫폼과 호환되는 공통 레이어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와 개발자는 BOS를 바탕으로 ‘오픈 웹’을 띄우거나 탐색함으로써 기존 서버에 기반한 다양한 게이트웨이에 빠르게 접근하는 게 가능하다. 또 연속적인 작동 환경을 구축해 서로 다른 체인을 이용할 때도 같은 사용자 경험을 부여하며, 개발자들이 내장 기능을 활용해 앱을 더 빠르게 설계하고 출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니어 재단은 BOS의 출시와 함께 개발자가 BOS 위에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인 알파 니어(alpha.near)와 사용자가 웹 로그인을 통해 BOS에 빠르게 온보딩할 수 있게 돕는 패스트 어스(FastAuth) 기능도 선보인다. 알파 니어는 개발자를 위해 실제로 조합 가능하면서, 동시에 사용하기 간편한 멀티체인 프론트엔드를 제공한다. 패스트 어스는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전체 웹을 위해 시드 구문이나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는 안전하고 간소화된 로그인 시스템과 개발자가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지원한다. 니어 프로토콜은 BOS를 기술 CIC(사내 독립기업)인 파고다(Pagoda) 및 생태계 플레이어와 함께 2023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나아가 단순한 레이어1 블록체인을 넘어 웹2·웹3간 연결된 ‘오픈 웹’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니어 프로토콜 공동 창업자이자 파고다 CEO인 일리야 폴로수킨은 “니어 프로토콜은 단순히 레이어1 블록체인이 아닌 웹3의 사용성을 극대화하는 운영 체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니어 프로토콜의 목표는 항상 웹3을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모든 구성 요소뿐 아니라 실제 성공 사례에 기반한 경험이 있다”고 덧붙였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니어재단, 업계 최초 블록체인 운영체제(BOS) 출시
-
-
한국인증서비스, 글로벌 B2B 플랫폼 ‘두리안’ 동남아 시장 진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한국인증서비스는 최근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기반을 둔 마케팅 전문기업 POP와 글로벌 B2B 도매거래 플랫폼 ‘두리안’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동남아 지역으로 두리안의 서비스 영토를 확장하기 위한 △이커머스 비즈니스 협업과 인프라 구축 △인적·물적 교류 △한국제품 바이어들과의 사업 연계 및 마케팅 제휴 등 포괄적 파트너십에 합의했다. 또 양사는 유럽 중 스페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제품의 수출 중계 사업에 대해서도 힘을 모을 계획이다. 앞서 한국인증서비스는 지난해 스위스에 지사를 설립하고, 유럽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바 있다. 두리안은 정식 오픈 1년여 만에 누적 회원수 70만명을 달성했다. 소상공인들의 대량 물품 거래를 염두에 두고 기획된 두리안은 최근 3.0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면서 국내 거래는 물론 해외거래도 가능하게 됐다. 특히 기존 단독 플랫폼 서비스에서 탈피해 중국 시앤위, 말레이시아 캐로셀 등 지역 내 1위 플랫폼과 연계함으로써 두리안에 물품을 올리는 것만으로 해외 유명 플랫폼에도 동시에 론칭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최세준 한국인증서비스 대표는 “POP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뿐만 아니라 동남아 전 지역에서 다양한 파트너들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POP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다양한 동남아 국가에서 중고거래, 재고상품, 신상품 등의 도매거래 플랫폼으로써 ‘두리안’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핵심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한국인증서비스, 글로벌 B2B 플랫폼 ‘두리안’ 동남아 시장 진출
-
-
멘로시큐리티, 2년 연속 ‘CRN 보안 100대 기업’ 선정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멘로시큐리티가 2년 연속 ‘CRN 보안 100대 기업’ 목록에 선정되었다. 멘로시큐리티는 이에 대해 2년 연속 상위 20대 보안 기업에 선정된 선도적인 보안 기업으로서 솔루션 공급 채널 파트너사를 지원하고, 혁신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3일 밝혔다. ‘CRN 보안 100대 기업’ 선정은 더 채널 컴퍼니(The Channel Company)의 CRN 편집자들이 담당한다. CRN 편집자들에 의해 올해의 보안 100 리스트에 선정된 기업들은 ▲nID 관리 및 데이터 보호 ▲n엔드포인트 및 관리형(매니지드) 보안 ▲n네트워크 보안 ▲n웹, 이메일 및 애플리케이션 보안 ▲n보안 운영, 위험 및 위협 인텔리전스 등 5개 부문에서 뛰어난 채널 중심 보안 오퍼링을 제공하고 있다. 이 목록은 솔루션 제공기업들이 고객을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구축하고자 할 때에 협력할 최고의 보안 공급업체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종합적인 가이드 역할을 한다. 오늘날 하이브리드 원격 근무가 새로운 업무 방식의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보안은 모든 산업 분야의 모든 규모의 조직에서 가장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사이버 보안 및 중요 데이터 손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점점 더 정교해지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시장 성장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 속에 멘로시큐리티는 최근 기존의 보안 방어를 우회하는 HEAT(고도의 회피형 적응형 위협)이라고 불리는 사이버 위협이 급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HEAT 공격은 웹 브라우저를 공격 벡터로 삼는 사이버 위협의 한 종류다. 방화벽, 보안 웹 게이트웨이, 샌드박스 분석, URL 평판, 피싱 탐지 등 현재 보안 스택의 여러 계층에서 탐지를 회피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HEAT 공격은 멀웨어를 전달하거나 자격 증명을 손상시키는 데 사용되며, 많은 경우 랜섬웨어 공격으로 이어진다. 멘로시큐리티의 웹 격리(RBI) 솔루션은 특정 장치, 웹브라우저, OS에 종속적이지 않아 다양한 환경에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모든 웹 콘텐츠 및 접속행위를 위험 요인으로 가정하고 격리 플랫폼에서 모든 콘텐츠를 격리한 뒤, 사용자에게 안전한 콘텐츠만을 전달하면서도 독보적인 렌더링 기술로 웹 격리 처리 속도가 월등하여 속도 저하를 체감하기 어렵다. 온프레미스(내부구축형 시스템)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 보안(SaaS)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하다. 기존 운영 중인 내부 방화벽 및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과 함께 통합 보안 환경 운영도 할 수 있다. 블레인 래든 더 채널 컴퍼니 CEO는 "올해의 보안 100대 기업은 다양한 위협을 견딜 수 있는 선구적인 보안 제품을 IT 채널에 제공하는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들이다. 선정된 기업들은 가장 진보된 사이버 보안 솔루션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멘로시큐리티, 2년 연속 ‘CRN 보안 100대 기업’ 선정
-
-
카카오헬스케어 "당뇨환자관리서비스 3분기내 선보일 것"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카카오헬스케어가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및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나선다. 먼저 이용자 대상 ‘Virtual Care’, 혈당 관리 서비스 ‘프로젝트감마(가칭)’를 올해 3분기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카카오헬스케어는 ‘모바일 기반 초개인화 건강관리(Virtual Care)’ 플랫폼을 제공하여 의료 소비자 개인이 직접 참여하는 헬스케어 생태계를 구축한다. 특히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당뇨에 초점을 맞춰 연속혈당측정기(CGM)와 스마트폰을 활용한 혈당 관리 서비스를 3분기 내 출시한다. 연속혈당측정기는 1회 착용으로 최대 15일 동안 실시간으로 혈당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는 각종 웨어러블 기기, 체중계 등 스마트기기와 카카오헬스케어의 모바일 헬스케어 플랫폼을 활용하여 혈당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운동, 수면, 식사, 스트레스, 체지방, 근육량 등의 데이터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모아진 정보를 바탕으로 혈당과 각종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누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본인 스스로 문제가 되는 변수를 제어하면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카카오헬스케어는 해당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가 주도적으로 생활습관을 교정하면서 편리하게 혈당을 관리하고, 나아가 관련 질환인 고혈압, 고지혈, 비만 등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또 파트너인 의료기관, 연구기관, 기업들을 대상으로 헬스케어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을 지원하는 ‘Data Enabler’로서도 적극적인 협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현재 국내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파일럿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2분기 내 대규모 병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올해 본격적인 서비스 출시를 통해 대한민국 대표 헬스케어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빠른 시간 내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국민보건증진에 보탬이 되고, K 의료의 글로벌 진출을 이뤄내는 것에 기여하는 등 카카오의 일원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카카오헬스케어 "당뇨환자관리서비스 3분기내 선보일 것"
-
-
글로벌 스타트업 AKA, 인지 기능 향상 앱 출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아카코그니티브(AKA)가 인지 기능 향상 앱 ‘ReSmart(리스마트)’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ReSmart 출시를 발판으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치료 분야 사업으로 확대하겠다 발표했다. AKA는 치매를 예방·완화하고자 자체 개발 인공지능 엔진 뮤즈(Muse)와 수년간의 인지 기능에 대한 연구를 결합해 ReSmart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ReSmart는 치매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다. 개인별 맞춤화된 데일리 활동을 통해 인지 기능을 높인다. 데일리 활동은 이용자의 동기 부여를 위해 게임이라는 방식을 채용했으며 이를 통해 뇌의 5가지 인지 영역(주의력, 언어학, 기억력, 사고력 및 시각 공간 능력)에 기반한 AI 지원 라이프 코칭을 제공한다. 해당 앱은 최신 기술에 대한 진입 장벽이 높은 고령층 이용자들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간소화된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했다. 현재 베타 버전에는 주요 인지 기능 트레이닝용 20가지 이상의 두뇌 피트니스 게임, 명상 및 심신 안정을 돕는 50가지 이상의 스테레오(입체 음향) 음향 테라피, 100가지 이상의 추천 일일 활동 등 전체적 신체와 두뇌 건강을 위한 기능이 탑재돼 있다. ReSmart는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기기 호환을 지원하며 접근성을 높임으로써 기술 이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휴대성 등 기존 치매 초기 탐지 기술의 애로 사항을 극복했다. 또 다양한 인지 기능에 대한 이용자의 성과 분석을 제공해 시간에 따른 경과 추적 및 다른 ReSmart 이용자들과 자신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용자들은 ReSmart로 자신의 인지 기능을 개별화된 방식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AKA는 베타 출시 이후 꾸준히 앱을 업데이트할 계획이며, 앞으로 인지 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일련의 AI 솔루션도 꾸준히 제공할 계획이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글로벌 스타트업 AKA, 인지 기능 향상 앱 출시
-
-
본투글로벌센터, GSMA의 혁신·파운딩 파트너로 선정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본투글로벌센터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와 글로벌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2023 MWC 바르셀로나’에 참가 중인 김종갑 본투글로벌센터장은 바르셀로나 현지 시각으로 3월 1일 MWC 행사장에서 GSMA 아태대표 줄리언 고먼과 파트너십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이번 파트너 협약을 통해 GSMA는 본투글로벌센터를 ‘GSMA 디지털전환가속화포럼’의 혁신 프로그램 파트너이자 GSMA 아시아태평양의 설립 파트너로 지정했다. 앞으로 GSMA의 각종 행사와 연구-교육프로그램들을 센터와 공동으로 기획·운영하는 등 협력 사업을 다방면으로 이어가기로 했다. 협약에 앞서 2월 28일(현지시간)에는 MWC에 참가한 주요국 정부 인사, 통신사와 대기업 고위급 인사들을 초청, GSMA 사무총장 마츠 그란리드가 주관한 ‘글로벌 디지털 리더스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 운영했다. 이 행사에는 마츠 그란리드 사무총장뿐만 아니라 존 호프만 GSMA 대표, 사라나 분바이차이야프룩 태국 방송통신위원장, 아리엘 수하르추크 아르헨티나 지식경제장관, 윙 리 말레이시아 YTL 커뮤니케이션 대표, 안드레아 폴게이라스 텔레포니카 최고기술책임자 등 30여명의 고위 인사들이 참석했다. 3월 1일 오전(현지시간)에는 ‘이용자 10억을 넘은 5G’ 주제의 토론 세션을 공동 운영, 하인츠 베르놀트 보스턴 컨설팅 그룹 파트너, 쉬리라즈 가글라니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 유우키 나루세 일본 총무성 국제경제협력국장 등 민관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민관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본투글로벌센터는 국내 디지털 혁신기술 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전문 기관이다. 글로벌 이동통신산업계를 대표하는 GSMA와 혁신 투자 파트너에 이어 혁신 프로그램 파트너와 아태 파운딩 파트너로 협력 관계를 확대함으로써, 정보통신 분야를 중심으로 글로벌 이동통신사 등 GSMA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글로벌 대기업과의 테크매칭, 조인트 벤처 설립,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 참여 등 다양한 형태의 글로벌 진출 사업들을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종갑 센터장은 “GSMA가 우리 센터를 파트너로 지정한 것은 그간 혁신 기술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면서 쌓아 온 센터의 전문 역량을 인정한 것”이라며 “세계 220개국 950여개에 달하는 GSMA 회원사들의 디지털 혁신·전환 수요를 우리 디지털 기술 기업들의 해외 진출 지렛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본투글로벌센터, GSMA의 혁신·파운딩 파트너로 선정
-
-
LG CNS, ‘ChatGPT와 AI시대의 보안전문가 생존전략’ 세미나 개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LG CNS가 9일 ChatGPT와 인공지능(AI)시대의 보안전문가 생존전략을 주제로 무료 세미나를 개최한다. 진화되는 위협과 증가되는 이벤트로 기존의 패턴탐지 방식으로는 당면한 보안업무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LG CNS는 AI를 보안 모니터링 업무에 적용한 주요 사례를 소개하고, AI 도입과정과 개선 효과, 그리고 AI 학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공유한다. 이번 세미나 주요 프로그램은 ▲보안모니터링 업무는 AI에게 맡겨주세요(정보유출 AI 운영경험과 사례소개) ▲해킹에 대응하는 AI(AI Assistant를 통한 24시간 관제방안) ▲법적 요구에도 대응하는 AI(개인정보 컴플라이언스에서의 AI활용)이다. LG CNS 측은 이번 세미나를 개최하며 AI 기술전문성과 보안컨설팅 노하우를 바탕으로 ▲정보 유출 ▲침해 위협 ▲개인정보 오남용 분야에서 양질의 데이터셋을 확보하고 있으며 고성능 AI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LG CNS, ‘ChatGPT와 AI시대의 보안전문가 생존전략’ 세미나 개최
-
-
스웨덴 발렌베리家, SK쉴더스 경영권 인수…SK스퀘어와 공동 경영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SK쉴더스가 스웨덴 최대 기업집단 발렌베리家에 팔렸다. SK스케어에 따르면 발렌베리 그룹 계열 사모펀드 ‘EQT인프라스트럭처(EQT)’는 국내 2위 보안업체 ‘SK쉴더스 경영권 인수’를 확정했다. 다만 SK스퀘어와 공동으로 경영한다. 박정호 SK스퀘어 부회장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개최지인 스페인 바르셀로나 한 호텔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발렌베리 가문 투자회사인 EQT 산하 EQT인프라스트럭처의 SK쉴더스 지분 인수가 만장일치로 의결됐다"고 전했다. EQT는 SK스퀘어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 일부와 맥쿼리자산운용 컨소시엄 지분 전체인 36.9%를 약 2조 원에 인수하고, 추가로 신주를 취득해 SK쉴더스의 최대 주주(68.0%)가 된다. SK스퀘어는 SK쉴더스 지분 일부(31.1%, 8646억원)를 EQT에 넘기며 32.0% 지분을 갖는다. SK스퀘어는 2천억 원 규모 신주 발행분을 무인 매장, 인공지능(AI) 기반 보안 서비스 등 SK쉴더스 신규 사업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부회장은 "이번 계약은 한국의 자본·보안·첨단 기술 시장에 대한 외국 주주 신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SK쉴더스는 기업가치 5조 원(부채 포함) 이상을 인정받았고, 이는 SK쉴더스 인수 당시 3조 원대 기업가치를 약 2배로 키워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SK스퀘어는 올해 3분기 내로 공정거래위원회 기업결합심사와 각종 정부 인허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SK쉴더스는 세큐리타스, 안티시맥스, CYE, 오픈 시스템 등 EQT가 북미, 유럽에서 보유하고 있는 해외 보안기업들과 시너지를 통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 ▲사이버·융합보안 구독형 사업모델 확대 ▲물리보안 사업모델 혁신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EQT는 1994년 현재 EQT 회장인 콘니 욘슨과 스웨덴의 저명한 발렌베리 가문이 소유하고 있는 투자회사 ‘인베스터AB’에 의해 설립됐다. 인베스터AB가 지분을 소유한 주요 기업들은 EQT를 비롯해 ABB, 아스트라제네카, 아트라스콥코, 일렉트로룩스, 에릭슨, 사브(SAAB) 등이 있다. 총운용자산은 약 1천130억 유로(약 156조 원) 규모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스웨덴 발렌베리家, SK쉴더스 경영권 인수…SK스퀘어와 공동 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