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보안Home >  사이버보안
-
LG이노텍, CES 2024 오픈 부스 2배 키운다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LG이노텍은 ‘CES(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2024’에서 모빌리티·인공지능(AI) 관련 혁신 제품 및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이를 통해 모빌리티 및 AI 분야 미래 기술 혁신을 이끄는 선도 기업으로서 글로벌 인지도를 한층 강화하고, 잠재고객 발굴에 속도를 낸다는 전략이다. CES는 매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IT·가전 전시회다. IT·모빌리티·헬스케어 등 미래 유망산업 혁신 기술 동향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어, 세계가 주목하는 행사로 꼽힌다. LG이노텍의 오픈부스는 올해보다 2배 커진 100평 규모로 웨스트홀 초입에 꾸려진다. CES 2024 웨스트홀을 찾은 관람객들은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LG이노텍 부스를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된다. LG이노텍은 미래 모빌리티 부품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글로벌 입지를 넓히는 한편, 다양한 미래 유망산업에 적용 가능한 차별화된 제품과 원천기술을 중점적으로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특히 CES 2024에서는 프라이빗 존(Private Zone)을 추가 조성하여 퍼블릭 존(Public Zone)과 함께 전시 부스를 이원화 운영한다. 사전 초청된 고객들을 대상으로 LG이노텍의 차별화된 신제품 및 신기술을 소개하고, 신규 잠재고객과의 미팅 기회를 적극 확대하기 위해서다. LG이노텍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모빌리티 핵심 부품을 탑재한 차량 목업(Mockup)이다. 전기차 관련 부품의 경우, DC-DC 컨버터, 2세대 충전용 통신 컨트롤러(EVCC), 업계 최초로 개발한 800V 무선 배터리 관리시스템(Wireless BMS) 등 파워 제품은 물론, 넥슬라이드(Nexlide) 등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디자인된 차량조명 제품이 대표적으로 탑재됐다. 이와 함께 글로벌 최고 수준의 광학 기술이 적용된 첨단 운전자지원 시스템(ADAS)용 카메라모듈, LiDAR 등 자율주행차량용 핵심 전장부품도 목업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무엇보다 자동차가 단순 이동 수단을 넘어 각종 IT기기와 연결된 대형 디지털 기기로 인식되면서, 모빌리티 업계의 새로운 화두는 ‘SDV(Software Defined Vehicle·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다. LG이노텍은 이 같은 SDV 트렌드에 발맞춰 차량 전장부품 하드웨어 개발·생산 뿐 아니라, 차량 운행 중 실시간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전장부품의 성능 제어·관리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포함한 솔루션을 CES 2024에서 처음 선보일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LG이노텍은 AI존을 새롭게 마련해 5G 통신 필수 부품으로 평가받는 안테나인패키지(AiP), 무선주파수 시스템인패키지(RF-SiP)용 기판, 그리고 LG이노텍의 신성장동력으로 낙점된 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를 전시한다. 한편 LG이노텍은 이번 CES에서 모바일에서 쌓은 고성능 광학 부품설계 및 정밀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로 사업영역 확대를 위한 LG이노텍의 혁신 여정을 글로벌 고객과 관람객들에 제안한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이사는 “이번 CES 2024는 LG이노텍이 모빌리티·AI 분야의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미래에도 차별적 고객가치를 지속 제공하는 기술혁신 기업임을 글로벌 고객들에 입증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올해 정보보호 투자액 1조8천526억원, 전담인력 6천891명으로 전년대비 20.9%, 17.6% 증가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를 촉진하고,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2023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 분석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보고서는 ’23년 정보보호 공시 현황을 토대로 국내 기업(701개사)의 정보보호 투자액, 전담인력,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613개사)의 전년 대비 변화 추이 등을 분석하였다. 업종별 투자액 및 전담인력 1위 기업은 각각 제조업 삼성전자(2천435억원, 904.2명), 정보통신업 KT(1천35억원, 303.8명), 도매 및 소매업 쿠팡(639억원, 167.7명) 순으로 높게 나타나 전년도와 동일했다. 분석 대상 기업의 총 정보보호 투자액은 약 1조 8천526억원으로 전년(1조 5천319억원) 대비 20.9% 증가했으며, 기업별 평균 투자액은 약 26억원으로 전년(24억원) 대비 8.3% 증가했다. 이 중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의 총 정보보호 투자액은 약 1조 6천968억원으로 전년(1조 4천839억원) 대비 14.4% 증가했고, 기업별 평균 투자액은 전체 공시기업의 평균 투자액보다 2억원 높은 약 28억원이며 전년(24억원) 대비 16.7% 증가했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투자액은 금융업(69억원), 정보통신업(57억원), 도·소매업(25억원) 순이며, 정보보호 투자 규모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이 정보통신업이나 IT 분야 제조업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별 주요 기업의 최고 정보보호 투자액은 플랫폼 네이버 416억원, 이통3사 KT 1천35억원, 이커머스 쿠팡 639억원이다. 분석 대상 기업의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6천891.5명으로 전년(5천862명) 대비 17.6% 증가했고, 기업별 평균 전담인력도 약 9.83명으로 전년(9.05명) 대비 8.6% 증가했다. 이 중 2년 연속 공시 이행 기업의 전체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약 6천240.2명, 기업별 평균 전담인력은 약 10.18명으로 전년(5천605.9명, 9.15명) 대비 각각 11.3%씩 증가했다. 주요 7개 업종별 평균 정보보호 전담인력은 정보통신업(23.35명), 금융업(17.41명), 도·소매업(9.03명) 순이며, 정보보호 전담인력 규모 상위 10대 기업의 대부분이 정보통신업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투자, 전담인력 외에도 정보보호 관련 인증 및 주요 활동에서 전년 대비 랜섬웨어/해킹 대응 훈련, 인식제고 활동, 보안인증 획득, 보험 가입 등 다양한 정보보호 활동 실시 비율이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제조업, 건설업 등 일부 업종은 전년과 동일하게 정보보호 활동이 다른 업종에 비해 낮아 정보보호 최고책임자 및 경영진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과기정통부는 지적했다.
-
SK(주) C&C, 2024년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 단행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SK㈜ C&C는 7일 디지털 ITS(IT서비스)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와 생성형 AI, 클라우드, 디지털 팩토리, 디지털 ESG 등 신성장 사업의 선도적 지위 확보 및 글로벌 사업 확장에 초점을 맞춘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먼저 영업 및 프로젝트 수행 조직을 고객·사업별 전담 조직화해 디지털 ITS 사업 경쟁력을 높였다. 선제적 시장 대응 및 고객 밀착 지원을 위해 각 사업 부문에 고객 전담 어카운트(Account) 조직을 배치했다. 또한, 고객 IT서비스 품질과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Application(애플리케이션)서비스부문’을 신설하는 등 IT서비스 딜리버리(수행) 기능도 강화했다. 생성형 AI, 클라우드, 디지털 ESG, ERP 등 전 산업 영역에 적용되는 기술 및 플랫폼 관련 조직들에 대해서는 전담 조직화하여 기능별 전문성을 강화하고, 사업부문을 밀착 지원한다. Global사업 확장을 위해 국내외 디지털 팩토리 사업 수행을 위한 ‘Digital Factory사업단’을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등 해외 법인의 독자적 디지털 ITS 사업 수행과 성과 창출을 리딩하는 ‘Global사업단’을 신설했다. 기존 R&D 중심의 Digital Tech.센터는 신규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디지털 혁신 사업 추진을 위한 DX 부문으로 재편했다. 생성형 AI, 디지털 ESG, 디지털 헬스케어, 웹3 등 뉴 테크(New Tech) 기반 디지털 신성장 사업 선두 주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임원인사에서는 신규 임원으로 총 11명이 선임됐다. [신규 임원 선임] ▲전략사업개발1그룹장 황민정 ▲제조사업개발그룹장 이진우 ▲에너지사업그룹장 김효욱 ▲ICT Biz.사업그룹장 안성진 ▲금융/전략서비스2그룹장 백석흠 ▲Hybrid Cloud1그룹장 김용신 ▲DX Tech.그룹장 손영윤 ▲Digital ESG그룹장 방수인 ▲품질혁신담당 한세현 ▲PMO담당 오재원 ▲리더십/Culture담당 박종오
-
라온시큐어·크립토랩, 양자내성암호 기술 상용화 협력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라온시큐어는 암호 기술 전문 기업 크립토랩과 양자내성암호(PQC)와 동형암호(HE) 기반 신제품·서비스 상용화를 추진하기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크립토랩은 데이터를 암호화한 상태로 연산할 수 있는 동형암호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암호 분야 100여 개의 특허를 등록한 기업이다. 라온시큐어는 양자내성암호 비즈니스를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크립토랩과의 업무 협약도 그 일환이다. 양자내성암호는 암호화된 데이터도 해독하는 양자컴퓨터의 공격에도 내성을 갖는 더욱 안전한 암호체계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각사가 보유한 기술을 바탕으로 양자내성암호 및 동형암호 기반 신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상호협력한다. 이정아 라온시큐어 사장은 “보안 솔루션 리더의 입지를 미래에도 탄탄히 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크립토랩과의 양자내성암호 상용화 협력을 통해 상호 역량을 교류하며 기술 교류 및 협업 시너지를 기대한다”며 “차세대 패러다임을 발빠르게 수용하고 앞서서 이끌며 국내외에서 저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천정희 크립토랩 대표는 “글로벌 학계에서 인정한 크립토랩의 원천 기술을 활용해 오랜 시간 시장에서 신뢰받는 라온시큐어와 함께 훨씬 더 강력해진 양자내성암호 및 동형암호 기반 보안 솔루션과 서비스들을 개발할 것”이라며 “이 제품들은 더 정교하고 고도화된 공격 기술들이 등장할 미래의 보안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과기정통부, ‘사이버보안 인공지능·빅데이터 챌린지 2023’ 시상식 개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사이버보안 분야에서 인공지능·빅데이터 활용에 대해 국민 관심 제고 등을 위해 개최한 ‘사이버보안 인공지능·빅데이터 챌린지 2023’ 시상식과 우수성과 공유회를 7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했다. 지난 8월 21일 대회 참가 신청을 시작으로 11월 17일 본선까지 진행된 이번 챌린지는 ▲네트워크 웹 공격 분류 ▲엔드포인트 공격 탐지 ▲아이디어 공모 3개 분야로, 정보보호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의 보안 전문가 및 학생 등 총 132개 팀, 353명이 참가해 우수한 성적을 거둔 9개 팀이 수상했다. 네트워크 웹 공격 분류 대상은 ‘원석이만 믿고간다’팀이, 엔드포인트 공격 탐지 대상은 ‘Project Hailmary’팀이 각각 선정돼 과기정통부장관상을 수상했다. 한편 성과공유회에서는 분야별 1위를 수상한 3개 팀의 제안 기술 및 아이디어 발표가 이어졌다. ‘네트워크 웹 공격 분류’ 트랙은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웹 방화벽에서 수집된 공격 데이터(로그)의 공격 유형(9종)을 분류하는 모델의 성능을 경쟁하는 분야로, 수상팀들은 다양한 인공지능 모델을 조합ˑ활용하여 90% 이상의 높은 공격 유형 분류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엔드포인트 공격 탐지’ 트랙은 라벨링되지 않은 데이터(로그)의 구조나 패턴 등을 인공지능 기술로 분석해 공격 데이터를 탐지하는 모델의 성능을 경쟁하는 분야로, 수상팀들은 다양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높은 탐지정확도와 구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정창립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인공지능·빅데이터를 악용하는 등 지능화·고도화된 사이버위협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의 보안역량 강화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에 정부도 “사이버보안 분야에 필요한 AI데이터셋 구축, 사이버보안 인프라 강화 지원 등 기업 보안체계 고도화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 '2023 정보보호산업인의 밤' 개최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보호산업협회와 함께 튼튼한 사이버안보의 주춧돌인 정보보호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올 한 해 산업계 종사자들의 성과를 축하하기 위해 ‘2023 정보보호산업인의 밤’ 행사를 6일 여의도 63컨벤션에서 개최했다. 국내 정보보호산업은 코로나, 경기 침체와 같은 악조건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약 16.2조 원으로 전년 대비 16.7% 증가했으며(최근 5년 간 연평균 12.5% 성장), 수출액은 약 2.2조원으로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글로벌 보안시장 또한 사이버위협 증가와 디지털화로 인한 보안영역의 확장, 각국의 보안규제 강화로 최근 큰 호황을 누리고 있다. 2026년까지 연평균 8.5% 지속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 정보보호산업, 글로벌 시장 정조준 -세계 Top5 정보보호산업 강국을 향해-’를 주제로 마련된 오늘 행사는 정보보호 산·학·연 관계자가 모여 우리 정보보호 산업계가 그간 달성한 성과를 축하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하기 위해 함께 뜻을 모아 협력을 다짐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정보보호산업 발전에 기여한 단체와 개인에게 이종호 장관이 표창과 상장을 전달하며 격려하였다. 정보보호 대상에는 삼성SDS, SK온, 지니뮤직이 선정되었다. 정보보호제품 혁신대상은 쿼드마이너(Network Blackbox ver3.4.2), 시큐리온(OnTrust), 엣지디엑스(AI Bridge), 스탠스(AWAS-DT) 등 4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는 대한민국 정보보호산업이 그동안의 결실을 발판 삼아 세계 톱5 정보보호산업 강국으로 우뚝 서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며, “현장에서 활약하는 정보보호산업인의 역할과 노력이 글로벌 정보보호시장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정부는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실시간 사이버보안 기사
-
-
SKT-한국교통연구원, UAM(도심항공모빌리티)산업 선도 협력 강화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SK텔레콤과 한국교통연구원이 ‘미래 도시 모빌리티의 꽃’으로 불리는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모빌리티) 산업 선도를 위한 협력 강화에 나선다고 25일 밝혔다. 양측은 이를 위해 지난 24일 유영상 SKT 대표,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원장 등 경영진이 참석한가운데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SKT는 UAM 사업 준비현황 및 추진계획을, 한국교통연구원은 국내외 UAM 제도화 방향 및 활용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향후 협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양측은 UAM 서비스가 활성화 되기 위해 정확하고 과학적인 시장 분석, 민간과 공공을 연계한 사업모델 발굴 등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데 뜻을 모았다. 양측은 SKT의 앞선 이동통신 운용 역량과 다양한 ICT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커넥티드 인텔리전스(Connected intelligence)에 한국교통연구원의 수준 높은 연구·분석 역량을 연계해 UAM 사업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하기로 했다. SKT는 UAM 예약과 탑승, 지상과 비행체의 통신, 내부 인포테인먼트, 지상교통과 UAM의 이용을 연계하는 플랫폼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한국교통연구원은 경제성 분석을 통해 UAM의 교통수요나 발생 비용, 적정한 교통흐름 등에 대한 연구를 심도 있게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서비스 시점과 탑승 플랫폼(vertiport, 버티포트)의 위치 등이 적정한지 파악하고, 대기오염·교통사고·차량소음 감소 등의 서비스 편익을 도출해낼 계획이다. SKT와 한국교통연구원은 관광, 재난·응급 분야 등에서 민간기업과 공공기관이 협력할 수 있는 서비스를 발굴하고, SKT의 통신·ICT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버티포트 위치를 선정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기로 했다. 유영상 SKT CEO는 “첨단 디지털 인프라 구축 및 관리 경험을 기반으로 축적한 커넥티드 인텔리전스로 한국교통연구원과 협업해 미래 도시환경에 최적화된 UAM 서비스 사업자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재학 한국교통연구원 원장은 “UAM을 포함한 미래 모빌리티는 이용자들이 다채롭게 선택할 수 있는 플랫폼 비즈니스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며, 미래모빌리티의 전환 과정에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협력이 필수적인 만큼 SKT와 관련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지속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SKT-한국교통연구원, UAM(도심항공모빌리티)산업 선도 협력 강화
-
-
다우기술, ‘문자매니아’ 개편 출시…사용자 편의성 증대·보안 강화에 초점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다우기술이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한 ‘문자매니아’ 서비스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문자매니아 서비스 개편은 사용자 편의성 향상과 개인 정보 보안 강화에 초점을 뒀다. 문자매니아 서비스는 SMS(단문)와 LMS(긴문자), MMS(글/사진 등) 등 다양한 형태의 마케팅 및 홍보 문자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다. 이번 문자매니아 개편으로 이용자는 모바일 웹이 추가돼 모바일로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홈페이지 UI/UX를 사용자 중심으로 변경해 원하는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주소록 관리 기능을 통해 대량 문자 발송 시 고객 주소록을 미리 등록·관리할 수 있다. 엑셀로 주소록 등록이 어려운 고객을 대상으로 주소록 등록 대행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 편리성을 높였다. 또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 로그인 기능을 추가해 휴대폰 인증 또는 IP 인증 절차를 통해 개인 정보 보호·보안을 더 강화했다. 정원식 다우기술 이사는 “’문자매니아’ 서비스가 중·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에게 쉽고 편리한 마케팅 서비스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만족을 드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다우기술, ‘문자매니아’ 개편 출시…사용자 편의성 증대·보안 강화에 초점
-
-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 2단계 수행…오프라인 결제 기능 검증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한국은행이 6월까지 인터넷 통신망이 단절된 상태에서 송금 및 오프라인 결제, 디지털자산 거래, 국가간 송금 등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 기능 구현을 검증한다고 24일 밝혔다. 한국은행은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을 1단계와 2단계로 나눠 진행하고 있다. 지난 해 말 완료한 1단계에서는 클라우드에 모의실험 환경을 조성하고 구현한 CBDC의 기본 기능(제조, 발행, 유통 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한국은행은 이를 기반으로 2단계에서는 오프라인 결제 등 다양한 추기 기능 구현 및 신기술(개인정보보호 강화기술 등)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단계 사업에서는 △사업인터넷 통신망이 단절된 상태에서의 송금 및 대금결제(오프라인 결제) △디지털자산 거래 △국가간 송금 구현과, △개인정보호 강화기술 △분산원장 처리성능 확장기술 등을 적용한다. 오프라인 결제는 CBDC 송금인과 수취인의 전산기기(모바일 기기, IC카드 등)가 모두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근거리무선통신(NFC) 등 해당 기기에 탑재된 자체 통신 기능을 통해 거래가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디지털자산 거래 기능은 여타 분산원장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디지털 예술품, 저작권 등을 CBDC로 거래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지원한다. 국가간 송금 기능의 경우 타 국가의 CBDC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하여 국가간 송금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또한 CBDC 거래 처리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용자의 주요 민감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 강화기술(Privacy Enhancing Technologies) 적용 가능성을 검증한다. CBDC가 다양한 지급결제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충분한 성능이 확보되도록 분산원장 처리 성능 확장기술 적용 가능성도 점검한다. 한국은행은 올해 6월 2단계 사업이 끝나면 1단계 사업 결과를 포함하여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22년 1분기중 금융기관들과 협의를 진행한다.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IT 및 금융 등 관련 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CBDC 관련 IT기술적 이슈를 공유하는 한편 CBDC 활용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방침이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 2단계 수행…오프라인 결제 기능 검증
-
-
NICE그룹, 데이터 융합을 위한 ‘디지털 라이프 데이터 댐’ 출범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NICE그룹은 데이터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그룹 내 계열사 NICE평가정보, NICE지니데이타를 주축으로 ‘디지털 라이프 데이터 댐’을 출범한다고 24일 밝혔다. 디지털 라이프 데이터 댐은 민간 주도 데이터 융합 얼라이언스로 △통신(LG유플러스) △은행(NH농협은행) △카드(KB국민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신용 평가(NICE평가정보) △제조·유통(LG전자) △메타버스(바이브컴퍼니) △공공(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경찰대학) △정보보호기술(크립토랩) △빅데이터 컨설팅(NICE지니데이타) 등이 참여하고 있다. NICE평가정보는 전 국민 신용 데이터와 업권별 대표 기업 간 데이터를 결합하고 대안 평가 모형 개선 및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ESG (환경·사회·지배 구조) 지수 개발 등을 추진한다. 사무국인 NICE지니데이타는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을 바탕으로 신뢰 중심의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고 빅데이터 전문 기업으로서 축적한 활용 노하우를 바탕으로 분석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한다. 이와 함께 참여사들은 올해 상반기 안에 데이터 가명 처리 및 결합을 완료하고 △코로나 이후 진행이 가속한 각종 사회 현상에 대한 이해 △나노 사회 소비 현상에 기반한 진화된 고객 전략 수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연내 가명 결합 데이터를 활용한 공동 연구를 수행하며 추가 적용 사례를 발굴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재현 데이터, 동형 암호 등 강화된 프라이버시 보호 기술도 공동 연구한다. 앞으로 온·오프라인과 메타버스의 업종 간 데이터 결합을 통해 고객 분석, 마케팅 전략 모델, ESG 지수 등 다양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NICE그룹, 데이터 융합을 위한 ‘디지털 라이프 데이터 댐’ 출범
-
-
현대오토에버, 설 앞두고 협력사 대금 400억원 조기 지급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현대오토에버는 설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 거래 대금 400억원을 조기 지급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어 경영 위기감이 높아진 협력사에 자금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협력사들은 예정된 지급일보다 빠르게는 2주 앞당겨 대금을 받을 수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이번 거래 대금 조기 지급으로 설 연휴를 앞두고 원자재 대금 결제, 상여금 지급 등으로 일시적 자금 수요가 몰리는 중소 협력회사들의 어려움을 더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현대오토에버는 협력사 간 공정한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안전한 대금 회수 및 금융 수익 세제 혜택 등 대금 지급 조건을 개선한 ‘상생 결제 시스템’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현대오토에버는 협력사가 원활하게 인력을 수급할 수 있도록 온라인 채용 플랫폼 이용 비용, 청년 채용 장려금을 제공하면서 협력사 임직원의 역량 향상을 위해 온라인 교육 수강도 지원했다. 또 의료진, 농어촌 지역, 협력사 등에 코로나19 방역물품을 지원했다. 이 밖에도 현대오토에버는 협력사와 상생을 도모하기 위해 △협력사의 대출 이자를 경감할 수 있는 금융 지원 △건강 검진, 동반 성장몰, 상조 서비스 등의 복리 후생 지원 △구매 상담회·솔루션데이 개최를 통해 세일즈 확보 지원 등 다양한 동반 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현대오토에버, 설 앞두고 협력사 대금 400억원 조기 지급
-
-
트렌드마이크로, 통합 사이버 보안 플랫폼 필요 강조…기자간담회 개최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글로벌 사이버 보안 기업 트렌드마이크로는 최근 기자간담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코로나19 이후 더욱 광범위해진 보안 공격 접점 및 보안 위협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XDR에 연계된 통합 보안 플랫폼이 필수’라고 밝혔다. 이날 트렌드마이크로는 자사의 통합 보안 플렛폼 ‘트렌드마이크로 원(Trend Micro One)’을 소개했다. 김진광 한국트렌드마이크로 지사장은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사이버 보안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접점에서 보안의 위협 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선제 대응할 수 있는 XDR이 필수적이다”라며, “트렌드마이크로가 제공하는 통합 사이버 보안 플랫폼 트렌드마이크로 원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보안 리더로서 빠르게 변하는 환경에서 오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트렌드마이크로는 지난 해 포레스터(Forrester)에서 ‘XDR 글로벌 공급업체’ 부문 1위와 ‘기업 이메일 보안’ 및 ‘엔드포인트 보안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부문에서 리더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2021 가트너 매직 쿼드런트 엔드포인트 보안 플랫폼’ 부문 리더로도 선정되었다. 그보다 한 해 앞서 IDC에서 진행한 조사에서는 ‘기업 엔드포인트 보안’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워크로드’ 부문에서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보안 업계 리더로서 시장을 이끌어왔다.
-
- 사이버보안
-
트렌드마이크로, 통합 사이버 보안 플랫폼 필요 강조…기자간담회 개최
-
-
NHN두레이, 한국은행에 클라우드 기반 협업 솔루션 5년간 공급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NHN두레이는 한국은행에 클라우드 기반 올인원 협업 솔루션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로 5년 간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한국은행은 NHN 두레이로부터 메일, 메신저, 캘린더, 주소록, 화상회의 등 협업 솔루션을 SaaS로 제공받아 활용한다. 한국은행은 클라우드 환경이 확산됨에 따라 큰 규모의 용량, 편리한 모바일 기능, 최신 협업 트랜드 등을 반영한 솔루션을 찾았다.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 교체 시기가 도래하고, 재해상황에서도 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고자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을 시작했다. NHN두레이는 한국은행 제공에 앞서 지난해 국제 표준 클라우드 보안 인증 ‘CSA STAR’ 최고 수준인 골드 등급을 획득했다. 골드 등급 획득은 금융사에서 새롭게 SaaS 서비스를 도입할 경우 필수로 요구되는 금융보안원 클라우드 안전성 평가의 기본 보호조치 점검을 대체할 수 있다. 김창록 한국은행 전산정보국 팀장은 “자료유출이나 서비스 안정성에 막연한 우려가 있었으나 수준 높은 두레이 솔루션의 보안 모델에 주목해 도입을 결정했다”며 “두레이의 안정적인 고객 지원 체계와 표준화된 API 제공 등 서비스 확장성에 내부 만족감이 크다”고 전했다. NHN두레이 백창열 대표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클라우드 환경 확산에 적극적으로 임하는데 있어 두레이를 파트너사로 선정한 건 굉장히 의미있는 일”이라며 “탄탄한 보안으로 탁월한 협업환경을 제공해 임직원들이 올인원 협업 도구가 익숙해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며 윈윈의 협력관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NHN두레이, 한국은행에 클라우드 기반 협업 솔루션 5년간 공급
-
-
[시큐뉴스] 미디어젠, ‘2021년 AI 바우처 사업’ 우수 기업 선정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미디어젠은 헬스케어 전문 기업 유비플러스와 추진한‘AI 감성 보이스 봇 기반의 비대면 고령 친화 돌봄 서비스 개발’과제로 ‘2021년 AI 바우처 지원 사업’우수 기업에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AI 바우처 지원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의 하나로 AI 제품과 서비스가 필요한 ‘수요 기업’과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공급 기업’ 모두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AI 바우처 지원 사업에 AI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 등록된 기업은 2022년 현재 1323개 업체다. 올해 22개 업체가 우수 기업으로 뽑혔다. 현대·기아자동차에 음성 인식 플랫폼을 공급하고 있는 미디어젠은 2019년 AI 시장에 진출해 사업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미디어젠은 자체적으로 AI를 개발하기 위해 음성 및 언어 AI 전문 연구소인 남즈(NAMZ)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곳에서 데이터부터 알고리즘까지 전부 자체 개발하고 있다. 미디어젠은 현재 음성 인식(STT) 및 음성 합성(TTS), 자연어 이해(NLU) 기술을 자체 개발·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일본 콜센터 시장 진출을 추진중이다. 송민규 미디어젠 상무는 “이번 AI 바우처 우수 기업에 선정된 성과를 바탕으로 2022년 AI 바우처 사업뿐만 아니라,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시큐뉴스] 미디어젠, ‘2021년 AI 바우처 사업’ 우수 기업 선정
-
-
삼성SDS, ‘첼로 스퀘어’이용 중소 수출기업 보증료 일부 지원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삼성SDS는 디지털 물류 서비스 ‘첼로 스퀘어(Cello Square)’를 이용하는 중소 수출기업 고객이 IBK기업은행에 대출할 때 지급해야 하는 보증료 일부(보증금액의 1.0%, 최대 300만원)를 지원한다. 삼성SDS는 이를 위해 20일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IBK기업은행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보증료는 기업이 금융기관 대출에 필요한 보증서를 신보/기보로부터 발급받을 때 지급하는 비용이다. 신보/기보는 대상 기업에게 보증료율을 일부 차감해주며, IBK기업은행은 보증서를 발급받은 중소 수출기업에게 금리 1.0%p를 추가로 감면해준다. 첼로 스퀘어는 중소 수출기업의 해외물류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디지털 물류 서비스다. 견적에서 계약,운송,트래킹, 정산에 이르는 물류 전 과정을 고객이 직접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오구일 삼성SDS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중소 수출기업이 첼로 스퀘어를 통한 디지털 물류 서비스와 금융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삼성SDS, ‘첼로 스퀘어’이용 중소 수출기업 보증료 일부 지원
-
-
한국정보인증, 한국남부발전 양자OTP 적용 완료
- [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한국정보인증이 국내 2차인증 업계 최초로 '한국남부발전 양자OTP 도입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 사업은 공공기관 최초로 퀀텀(양자) 보안기술을 적용했다. 한국정보인증에 따르면 한국정보인증은 양자 난수 생성 원천기술을 보유한 국내 보안 스타트업 '이와이엘(EYL)'과 협력해 자사 스마트 통합 인증 솔루션 '그리핀타워(GrippinTower)'에 양자 난수를 이용한 일회용인증번호(OTP) 생성 기술을 개발했다. 양자 난수는 양자현상에서 발생하는 불규칙성을 이용해 무작위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고품질 난수를 생성하는 기술로 주로 양자 암호 통신 분야에 적용돼 왔다. 기술 특성상 패턴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통신 시 데이터 암호키를 활용해 도청이나 감청을 차단하는 등 강력한 보안이 필요한 군통신 등 특수 분야를 비롯해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통신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적용 사례가 연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이뤄지는 5G 암호통신망 구축에 활용되고 있으며 퀀텀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보안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김상준 한국정보인증 대표는 "최근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보안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용자 인증은 무엇보다 중요한 보안 요소가 됐다"며 "OTP 기술에 퀀텀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한층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확대될 퀀텀 보안시장에 대응해 기술 개발 및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사이버보안
- 종합
-
한국정보인증, 한국남부발전 양자OTP 적용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