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3-30(목)
 
회담1.png▲ 28일 서울 시민들이 자주 찾는 서울도서관 건물 전면에 남북 정상의 백두산 기념사진이 걸려 있다. ⓒ 연합뉴스
 
68.9%가 남북정상의 합의에 만족하나 비핵화 진정성은 52.3%가 신뢰하지 않아
 
비핵화 조치 검증 후 종전선언 바라는 응답 54.7%로 정부의 신중한 접근 필요

(시큐리티팩트=김효진 기자)

중앙일보가 창간 53주년을 맞아 실시한 주요 현안 여론조사에서 유권자 10명 중 7명(68.9%)은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 비핵화와 관련해 이뤄진 남북정상의 합의에 대해 만족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통일에 대해서도 70.9%가 긍정적이었고, 62.6%는 통일 과정에서 세금이 늘어나도 부담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럼에도 북한 정권에 대한 접근은 신중해야 한다는 반응이 더 많았다.

통일 비용은 ‘기꺼이 세금을 부담하겠다’는 사람은 24.6%이고, ‘조금은 부담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38%인데 비해, 부담하고 싶지 않은 사람은 37.4%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도 차이가 나타났다. 20대 응답자의 경우 10명 중 4명(42.2%)이 “(통일 비용을) 부담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고, 60세 이상에서도 47.9%가 부정적이었다. 반면, 30∼50대는 부정적 의견이 30%내외의 분포를 보였다.

비핵화에 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진정성에 대해서는 46.1%(매우 신뢰 9.2%, 어느 정도 신뢰 36.9%)가 신뢰한다고 했지만, 신뢰하지 않는다(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36.1%, 전혀 신뢰하지 않는다 16.2%)는 응답은 52.3%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30∼50대에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자가 50%를 넘었지만, 20대에선 신뢰하지 않는다(69.0%)가 신뢰한다(30.4%)의 2배가 넘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60.6%), 대구·경북(59.3%)의 부정적인 답변 비율이 높았고, 광주·전라(34.6%)가 가장 낮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안에 이끌어내려는 한국·북한·미국 간의 종전선언 방식에 대해서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다수여서 정부의 신중한 자세를 요구하는 반응이 우위를 점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북한의 비핵화 조치를 충분히 검증하고 난 이후’ 종전선언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절반 이상(54.7%)이었다. 반면 ‘비핵화 조치 이전이라도 종전선언’을 바라는 사람은 19.7%에 그쳤고, ‘비핵화 조치와 동시 종전선언’을 바라는 사람은 17.8%였다. 

이 조사는 9월 27∼28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유선 238명, 무선 762명) 조사를 실시했고, 유·무선 평균 응답률은 12.7%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 포인트이다.  

태그

전체댓글 0

  • 9516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국민 여론, 대북정책에 긍정적이지만 종전선언 등 신중한 접근 요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