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어버스 D&S사 'A330 MRTT'…김해기지에서 1개월 간 수락검사 후 전력화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안보전문기자] 공군 전투기의 작전 반경을 획기적으로 늘려 줄 공중급유기 1호기가 12일 우리나라에 도착한다.
군의 한 관계자는 11일 "공군 사상 최초로 도입되는 공중급유기 1호기가 오늘 김해 공군기지에 도착한다"며 "약 1개월 동안 수락검사를 받은 뒤 다음 달부터 전력화된다"고 밝혔다.
수락검사는 각 군이 도입한 장비가 품질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검사하는 절차다. 시스템 구성·정비·항공·군수 분야를 비롯해 공중 급유의 정상 시행 여부도 검사 대상이다.
공군은 수락검사 기간 공중급유기를 띄워 F-15K와 KF-16 전투기에 실제 공중 급유를 시도할 계획이다. 도입될 공중급유기는 유럽계 업체인 에어버스 D&S사의 'A330 MRTT'로 내년에 3대가 추가 도입된다. 공중급유기 4대 도입에는 약 1조5천억 원의 예산이 든다.
A330 MRTT는 전장 59m, 전폭 60m의 기체 크기를 가진 항공기로 적재할 수 있는 최대 연료량은 24만 파운드(108t)다. 공군은 이미 공중급유기 조종사와 정비사, 급유 통제사 등을 선발해 사전 교육을 마쳤다.
급유 대상 기종은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와 KF-16이고, 내년부터 2021년까지 40대가 도입될 F-35A도 해당된다.
공중급유기 전력화로 우리 공군 전투기의 공중 작전시간은 1시간 이상 늘어난다. 현재 연료를 가득 채운 KF-16은 독도에서 10여 분, 이어도에서 5분가량 작전할 수 있다. F-15K는 독도에서 30여 분, 이어도에서 20여 분 가능하다.
하지만 공중급유기로 1회 연료 공급을 받으면, F-15K의 작전시간은 독도에서 90여 분, 이어도에서 80분 이상으로 늘어난다.
공중급유기 기종 결정은 2015년 6월 30일에 열린 제89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이뤄졌는데, 당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에 대해 "전쟁범죄 행위"라며 강하게 비난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공중급유기 1호기 도입에 대해서도 북한이 어떤 자세로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