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함지뢰 3발 폭발, 수색 중인 부사관 2명에게 중상 입힌 DMZ 지뢰도발 현장 [방송화면 캡처]
2015년 북한군이 불법매설한 목함지뢰 밟은 우리 부사관 2명 중상
2015년 북한군이 불법매설한 목함지뢰 밟은 우리 부사관 2명 중상
6·25전쟁 이후 지뢰매설 추정치, DMZ 남측 127만말 북측 80만발
2001년부터 민간인 지뢰사고는 40건, 군 사고는 26건이 발생, 휴전 후 4000명 피해
[시큐리티팩트=김희철 칼럼니스트]
대한민국은 6.25전쟁 이후 수십년 동안 '지뢰 잔혹사'를 겪어왔다. 그 가슴 아픈 역사를 정면돌파해온 숨은 어벤저스들을 소개한다.
2015년 북한군이 군사분계선을 불법으로 침범해 서부전선 DMZ 철책 통문에 의도적으로 매설한 목함지뢰에 의해 DMZ수색작전 중 우리 부사관 2명에게 중상을 입힌 사건이 발생했다.
사실 軍은 북한의 도발에 의해 피해도 입지만 기존 매설된 지뢰를 제거하면서도 많은 인명 손실을 겪는다. 최근 국제 민간기구 ‘국제지뢰금지운동’(ICBL)도 DMZ의 경우 1㎡당 2.3개꼴의 지뢰가 매설돼, 세계 최고 수준의 지뢰 밀도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DMZ 전 지역은 6·25전쟁 이후 출입이 통제된 미확인 지대로 지뢰 매설량을 추정하는 것은 제한된다는 것이 국방부의 공식 입장이다. 하지만 한국지뢰제거연구소는 각종 군 자료를 토대로 남측에는 127만말, 북측에는 80만발, 합계 약 200만발의 지뢰가 묻힌 것으로 추정했다. 또 남한 지역에만 DMZ에 52만발, 민통선 이북에 74만발, 민통선 이남에 1만발이 설치된 것으로 봤다.
문제는 전체 지뢰지대 중 미확인지대가 94.8%나 된다는 것이다. 특히 DMZ 내부의 경우 기확인지대가 2.7%뿐으로 사실상 모든 지역이 미확인지대다. 철책선 순찰로 옆에는 ‘들어가면 죽는다’, ‘미확인지뢰지대’ 등의 경고판이 곳곳에 있다.
국방부는 대인지뢰 90만발로는 M2, M3, M14, M16A1 등을, 대전차지뢰는 M6, M7, M15 등을 DMZ에 묻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대부분이 6·25전쟁부터 1980년대까지 묻은 냉전의 산물이다. 약 40만발 묻힌 발목지뢰로 불리는 ‘M14’는 플라스틱 재질로 무게가 9.4g에 불과해 폭우가 오면 유실되곤 한다. 밟으면 발목을 앗아 간다. M16A1은 밟으면 공중으로 도약해 폭발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는다.
DMZ수색작전 중 우리 부사관 2명에게 중상을 입힌 북한의 대표 지뢰인 ‘목함지뢰’는 폭약의 파괴력이 M14의 7배다. 나무 상자에 TNT폭약을 넣었기 때문에 홍수가 나면 물에 떠서 유실되곤 한다. 2001년부터 2016년까지 민간인 지뢰사고는 40건, 군 사고는 26건이 발생했다. 휴전 후부터 따지면 4000명이 넘게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1982년 GP장 시절 인근부대 지뢰제거 중 폭발로 간부 순직 및 병사 실명
1987년 지뢰제거에 솔선수범(率先垂範) 하다 순직한 故 강병식 대령
1982년부터 필자가 근무했던 승리부대는 GP현대화 및 추진철책 공사 위해 많은 부대가 DMZ에 투입됐다. GP장근무를 하면서도 GP현대화공사장 확장과 진입로 개척을 위해 주변 지뢰 제거작업을 했다.
어느날 인접 GP에서 유승한 중위(학군19기)와 한황진 중위(육사37기)가 진입로 개척을 위해 불도저까지 동원하여 지뢰 제거 및 도로 확장공사를 하고 있었다. 유중위는 안전을 책임지는 선탑자로서 불도저에 타서 운전병을 통제하였고, 한중위는 소대원들을 데리고 주변 경계를 하였다.
불도저의 삽날이 땅을 파고 들어가는 순간 ‘꽝’하는 소리와 함께 대전차 지뢰가 터져 삽날1/3이 파편이 되어 흩어졌고 도져는 부서진 삽날을 들어 올린채 지뢰지대로 점점 더 들어갔다. 지뢰폭발로 흩어진 파편은 운전병의 양눈을 파고들었고 선탑자 유중위와 한중이도 온몸에 파편이 박혔다.
다행이 모두 방탄조끼를 입고 있었기 때문에 치명상은 아니였지만 안면이 피범벅이 되었다. 선탑자 유중위는 양눈에서 피가 흐르는 운전병 대신 불도저를 급정거 시키고, 상급부대에 사고 보고를 했다.
아찔한 순간이 었다. 사전 지뢰탐지를 했지만 깊히 밖혀 있던 지뢰를 찾지 못한 탓에 사고가 발생했고 의무후송을 간 운전병은 실명하고 두명의 중위는 얼굴이 곰보가 되어 있었다.
필자가 GP장을 마치고 DMZ추진철책 설치를 위한 지뢰지대 개척 작업시에는 소대원들 모두 머리카락과 손톱을 깍아 유서와 함께 편지봉투에 넣어 소대에 보관하고 DMZ로 투입했었다.
인접 사단에서 중대장 근무를 하던 이충원 육사동기는 지뢰제거 작전시 지뢰폭발로 중상을 입어 장기간 입원치료를 받았고, 훗날 유신사무관으로 나가 통일부에 근무하기도 했는데 그 트라우마가 아직도 남아 있다고 한다.
1987년 필자가 사단작전장교 근무시절 당시의 전초(GP담당)대대장 고(故) 강병식대령(육사31기)은 GP주변 지뢰제거 임무를 부여받고 맨 선두에 서서 지뢰제거를 하다가 M16A1 대인지뢰 폭발로 두다리가 절단되어 순직했다. 바로 뒤에 있던 중대장과 소대장도 부상을 당해 후송되어 간신히 회복되었으나 트라우마 때문에 군생활을 다하지 못하고 조기 전역했다.
지휘관은 가장 어려운 순간에 맨 앞에서 “나를 따르라(Follow me..!)”하는 솔선수범(率先垂範)을 보이는 위치이다. 강 대령은 대대장으로서 임무를 다하기 위해 부하들에게 지뢰제거의 선두를 맡길 수도 있었는데 너무도 부하들을 사랑한 나머지 모범을 보였고, 안중근 장군의 유묵처럼 ‘견위수명(見危授命, 위기를 보면 목숨을 바친다)’을 실천하다 순직했다.
필자가 DMZ추진철책 설치를 위한 지뢰지대 개척 작업 임무를 수행하다가 상급부대 명령에 의해 대대본부 작전항공장교 보직을 받고 소대장직을 인계한 후 얼마되지 않아서 그 소대의 선임하사도 지뢰폭발로 운명을 달리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얼마나 울었는지 모른다.
죽음의 공포와 싸우는 군인들의 위국헌신(爲國獻身)하는 자세는 지금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우리국민들은 생사의 갈림길에서 두려움을 감수하면서 국가를 위해 임무를 완수하는 군인들과 운명을 달리한 순직자들에게 감사하고 추모하며 보답을 해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순직한 이들을 최우선적으로 배려해야 한다. 그러나 현 대통령은 지난 11월 ‘연평도 포격도발8주기 추모식’과 이번 3월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또한 현충일 천안함-연평해전 유족들을 청와대로 초청해놓고 김정은 사진 테이블에 올려놓아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한상국 상사의 아내 김한나 씨 등 가족들을 울먹이게 만들었다.
하지만 문대통령은 ‘518민주화운동기념식’에 참석하여 장시간의 기념사까지 하였다. 우리나라의 민주화를 위해 희생한 영혼들을 위로하고 추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의 안위를 위해 죽음의 공포 속에서 목숨을 잃은 장병들을 국가통수권자가 간과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문대통령은 국군의날 기념식 및 사관학교 졸업식에서 "평화를 만들어가는 근간은 도발을 용납하지 않는 군사력과 안보태세"이고 "이기는 군대가 돼야 한다"면서 북한 핵과 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거듭해서 강조했다.
대통령의 기념사처럼 “국가다운 국가, 싸워 이기는 군대”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나라를 위해 생사의 기로에서 주저함 없이 임무를 수행하다 희생한 전몰장병들과 그 가족들을 최우선으로 끝까지 책임지기를 간절히 기대한다.
정부의 배려와는 무관하게, 국가와 국민들을 위해 현재 이 시각에도 견위수명(見危授命)하는 우리의 자랑스런 국군장병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현재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 교수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알에이치코리아,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