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전쟁사(36)] ‘이현상’의 남부군을 초토화시킨 백선엽의 진검승부(상)
유엔군의 북진으로 퇴로 차단 당한 북한군은 이현상의 남부군에 합류하여 유엔군 작전을 위협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6.25남침전쟁 중 국군이 38선을 넘어 통일을 위한 북진을 계속할 때 퇴로를 차단당한 북한군 패잔병 약 1만여명이 지역 공비들과 합류하였다. 이들은 북한군의 제2전선인 평강·양구·철원일대에 약 2만5000명, 후방지역인 태백산 일대에 4000명, 지리산 일대에 3,000~2만명 정도로 추산되었다.
이에 ‘50년10월 후방지역 작전을 전담할 3군단을 창설하여 공비토벌과 병참선 확보임무를 수행토록 하였다. 3군단은 작전간 패잔병들인 북한군 2군단 예하 5·8·11·13사단을 격멸하고 그해 12월 전선으로 배치되었다. 이때 국군 2사단은 중부지역에서, 5사단은 영남지구에서, 9사단은 대둔산 및 경북 서부지역에서 12월까지 작전했으며, 11사단은 지리산지구에서 ‘51년 3월까지 공비토벌 작전을 계속했다. 그후 횡성지구 전투를 치룬 8사단이 ‘51년 4월 전주로 이동하여 11사단과 임무를 교대하고 금산·정읍·부안지구 일대에서 공비토벌작전을 전개하였다.
■ 치안과 유엔군 작전에 지장을 줬던 이현상의 남부군 토벌 위해 백야전 전투사령부를 창설
공비들의 온상지라고 칭하는 호남지구에는 이현상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남부군의 주력 약 8800여명이 지리산 일대에서 출몰하고 있었다. 공비들의 주력은 낙동강 전투에서 패배한 북한 정규군이었고 여기에 남노당 조직과 여순반란사건 등에 참여한 공비들도 가세하였다. 이들은 곳곳에서 후방 교란작전을 벌여 치안 및 유엔군 작전에 상당한 지장을 주었다.
특히 산간오지는 “낮에는 대한민국, 밤에는 인민공화국”이라 할 만큼 그 폐해가 극심하여 민심은 극도로 불안하였고 정부와 군에 대한 불신감은 날로 고조되었다.
당시 이들을 담당하던 서남지구 전투사령부(사령관 준장 김용배)는 예하 3개 연대와 경찰부대로 소탕작전을 수행했으나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육군은 ‘51년 11월에 수도사단(사단장 준장 송요찬)과 8사단(사단장 준장 최영희) 그리고 기존 서남지구 전투사령부를 통합하여 ’백야전 전투사령부’를 창설하였고 미군들도 존경했던 전쟁영웅 백선엽 장군 지휘아래 ‘52년 3월까지 유격전의 귀신이라 불리는 신출귀몰한 이현상의 남부군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공비토벌작전을 실시하였다.
대구에서 창설된 백야전 전투사령부는 51년 11월25일 전주로 이동하였고, 수도사단은 동부전선에서 담당지역을 11사단에게 인계하고 속초에서 LST편으로 해상 이동하여 여수와 마산에 상륙했다. 8사단은 중동부전선에서 담당지역을 7사단에 인계하고 육로로 전주에 도착했으며, 태백산지구 사령부와 경찰부대도 11월25일부로 백야전 전투사령부에 추가로 배속되었다.
■ 공비들의 지휘체제 와해와 근거지를 파괴시킨 백야전 전투사령부의 제 1기 작전(1951.12.2~12.14)
백야전 전투사령부는 육본 지침에 따라 수도사단을 지리산 남쪽에 8사단을 지리산 북쪽에서 기동타격부대로 포위망을 압축하며 공비들의 근거지를 분쇄하고 반복 수색으로 잔당을 색출, 격멸하는 임무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 밖의 부대들은 저지부대와 거점 수비부대로 퇴로를 차단하도록 했다.
제 1기 작전은 51년12월 2일~12월 14일 동안 시행되었는데 먼저 각 사단이 목표지역을 전반기 5일간 공격하여 점령 및 격멸하고 이후 지역내 반복 수색을 통해 소탕하는 후반기 작전으로 구분했다.
수도사단은 작전 개시일까지 통제선 ‘A’의 외곽지역에서 준동하는 공비들을 목표지역내로 몰아 넣은 다음 이를 격멸하는 계획을 세우고 12월1일 최초 통제선 ‘A’로 은밀하게 이동해 12월 16일까지 정상을 향해 포위망을 압축해 들어가며 공비들을 소탕했다.
이때 공비들의 근거지를 모두 소각 및 파괴하여 다시 이용하지 못하도록 했고 그 곳에 있던 주민들을 구호소로 소개시켰다. 이에 공비들은 곳곳에서 소총 및 박격포를 쏘며 저항했으나 점점 지리산 정상 반야봉 및 천왕봉일대로 후퇴하였고 결국 정상부근에서 우리 공군 무스탕기의 폭격 지원하에 섬멸시켰다.
8사단도 전주에 사단 전술지휘소를 설치하고 수도사단과 협조아래 지리산 북쪽에서 통제선 ‘A’로 은밀하게 이동해 반야봉 및 천왕봉일대로 3개 연대 병진으로 일제히 공격했다. 서남지구 전투사령부는 남원에 전술지휘소를 설치하고 경찰부대와 함께 차단 및 반복 수색으로 공비를 찾아내어 섬멸했다.
반야봉 및 천왕봉일대를 점령한 수도사단 및 8사단은 전반기 작전기간 공격했던 코스를 역으로 산을 내려오면서 소탕작전을 수행했으며 경찰부대가 퇴로를 차단한 가운데 포위망을 뚫고 달아나는 공비들을 추격하며 섬멸하여 난공불락으로 자랑하던 공비들의 근거지 지리산 요새들을 철저히 분쇄했다.
한편 타격부대의 공격과 아울러 심리전도 활발히 병행하였다. 남원에서 방송시설을 갖춘 미군은공비들에게 투항 권유방송을 송출하였고 각 부대마다 확성기를 메고 다니며 현지에서 육성으로 자수 및 투항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현지 주민들에게도 공비에 협조하지 말라는 경고방송을 하였으며 동경에서 인쇄해온 전단 992만장을 지리산이 하얗게 덮힐 정도로 살포하였다. 작전기간중 지리산의 많은 적설과 주야간 및 고도간의 기온차가 심해 토벌군은 혹심한 고초를 겪었으며 아군은 물론 잡혀온 공비들 중에도 동상환자가 많았다.(하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