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육대명령.png
▲ 필자의 육군대학 전출신고가 반영된 1988년 7월4일의 사단장 시간계획서와 대성산 정상 모습 [사진=김희철]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필자의 육군대학 전출신고가 드디어 사단장 시간계획에 반영되었다. 소위로 임관해 첫 부대인 중부전선 격오지 부대에서 약 8년간의 근무를 끝내는 순간이었다.


‘유종지미(有終之美)’는 중국 전국시대에 진나라 무왕의 세력이 커지자 점점 자만해져서 처음 품었던 마음을 잃어버림으로 이를 안타깝게 여긴 한 신하가 무왕에게 다음과 같이 직언한 것에 유래한다. 


그 신하는 “시경에 ‘미불유초 선극유종(靡不有初 鮮克有終)’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처음이 있지 않은 것은 없고, 능히 끝이 있는 것이 적다’는 뜻으로, 처음 시작한 것을 끝까지 이루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대왕께서 천하통일의 대업을 착실히 추진하시어 유종지미(有終之美)를 거두신다면 온 백성이 우러러볼 것입니다”라고 말한 것에서 시작된 고사성어이다.


■  직업인의 발전은 유종지미(有終之美)를 거두며 같이 근무한 동료와 10년 이내의 선배들이 큰 역할한 덕택


필자는 88을지연습을 마치고 복귀한 뒤 2주 동안 부대 야전예규를 수정하여 책자로 만들었고, 이것을 육군대학 전출 신고 전날 사단장에게 보고했다. 


사단장(최권영 소장, 육사19기)은 사단의 워게임 실시반을 이끌고 한미연합사에 파견돼 88을지연습을 성공적으로 마친 데다가 타 부대로 전출가기 전에 부대 야전예규까지 수정해 재발간한 것을 높이 치하했다.


필자는 중국 진나라의 신하가 무왕에게 직언한 ‘유종지미(有終之美)’를 잘 이루기 위해 약간의 노력을 한 것을 칭찬해준 사단장에게 감사함을 느꼈다. 

 

더욱 고마운 것은 사단작전장교로 근무하던 중 지난해 운 좋게도 소령 진급자 명단에 포함되었다는 것이다. 타 부대로 떠나는 그해 가을에 정상적으로 계급장을 달면 족보에도 등재되는 영광도 얻는 당상관의 직급이 된다. 또한 다음달이면 영관장교 보수교육인 육군대학에 입교하여 1년간 안정된 후방 생활도 하게 되었다. 


게다가 육군대학 졸업 후에는 차기 보직이 수방사로 결정되었음을 통보 받았다. 드디어 야전 근무를 지칭하는 비포장 도로 군인이 아닌, 도심권 지역에서의 근무를 의미하는 아스팔트 군인으로 근무하게 된 것이다. 


당시 필자는 최전방 격오지에서 8년 가까운 시간 동안 근무한 것이 인사 측면에서 공평하게 수도권 근무로 조정을 해준 요인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필자의 차기 보직이 수방사로 발령된 것은 최전방 격오지 부대에서 장기간 근무하며 인연을 맺었던 선배가 이미 수방사에서 근무하며 그곳 인사관련자에게 강력히 추천한 결과였다는 것을 나중에 알았다. 


속칭 장교 유배지라는 별명이 붙은 중부전선 격오지 부대의 소대장으로 최초 부임해 최전방 야전 생활을 시작했고, 같이 전입했던 동기들은 모두 타 부대로 발탁돼 떠나고 필자만이 남아 장기간 근무한 것이 오히려 전화위복(轉禍爲福)이 된 셈이다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직업인의 자세를 깨달을 수 있었다. 남들이 회피하는 곳이라도 그 곳에서 최선을 다하면 좋은 결과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어떤 곳이라도 그 곳에는 인재가 있고 그와 좋은 관계를 맺으면 훗날 꼭 보상이 있다는 진리이다.


“썩어도 준치이고 굼벵이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는 속담이 꼭 맞았다. 특히 학벌이나 출신 구분없이 같이 근무한 동료들과 10년 이내의 선배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인정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결론적으로 필자가 수방사로 차기 보직을 받은 것도 계급이 높은 10년 이상의 선배 보다는 같이 근무한 그 이내의 선배와 동료들이 큰 역할을 한 덕택이었다.


육군대학1.png
▲ 육군대학 전경과 육군대학 마크 및 장인의 장례식장 모습 [사진=육군대학/김희철]

  

■  현 진급에 안주하지 말고 더 열심히 최선을 다하라는 주마가편(走馬加鞭)식 독려


사단장에게 육군대학 전출 신고를 마치고 관사에서 결혼 후 7번째 이사짐을 꾸리고 있을 때 장인의 전화가 왔다.


장인인 고(故) 강철 예비역 대령은 평북 정주에서 태어나 해방후 인접 옥천에서 초등학교 선생을 하다가 공산당의 학대를 피해 홀홀 단신으로 월남하였다. 이후 서울에서 학업을 준비하던 중 간부호보생 3기로 합격하였으나 6·25 남침전쟁 발발로 병으로 입대하여 국군 6사단 7연대에서 춘천지구 전투를 치루었고, 그해 육군 종합학교 1기생으로 임관하여 전쟁기간 동안 소・중대장과 참모직을 수행했다.


이후 보병학교 교관, 미국 고등군사반 유학, 대대장, 12사단 및 주월 비둘기부대 작전참모, 28사단 연대장 및 육본 교육과장 등을 역임 후에 예편하여 방산업체에서 15년을 근무했다. 그는 치열한 격전 속에서 수많은 전공을 세워 충무・화랑 등 무공훈장을 5개씩이나 받은 전쟁 영웅이었다.


과거 육군대학을 1등으로 졸업했지만 장군의 반열에 못 올랐던 장인은 필자에게 육군대학 졸업 성적은 앞으로 진급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며, “내 원한을 갚아 줘야 되지…, 김 장군 …?”이라고 육군대학 입교를 앞둔 사위에게 격려의 전화를 건넸다.


육군대학 교육은 학교의 수용인원을 고려하여 1년의 정규과정과 3~6개월의 단기과정 그리고 통신과정으로 구분되어 있었고, 정규과정은 시험과 근무 성적을 고려하여 일부 인원만 선발하고 나머지는 단기 및 통신과정에 입교하는 제도였다.


정규과정에 입교한 자들이라도 다시 성적과 투쟁을 해야 했다. 최종 수료시 교육인원 중 1/3수준의 상층 성적을 얻지 못하면 진급 심사에서 불리하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실정을 잘 알고 있는 장인이 현 진급에 안주하지 말고 더 열심히 최선을 다하라는 주마가편(走馬加鞭)식의 독려였다.


그런데 필자는 참으로 운이 좋은 사람이었다. 육군대학에 들어갔을 때에도 앞서 입교한 선배기수 중에 같이 근무했던 선배와 동료들이 꼭 필요한 참고 자료와 공부 요령 등을 전수해 주었다. 덕택에 장인처럼 1등은 못했지만 무사히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이처럼 “학벌이나 출신 구분없이 같이 근무한 동료들과 10년 이내의 선배들이 중요하다”라는 진리는 직장(부대) 생활 뿐만 아니라 육군대학에서 조차 또 적용되었다. 


 

태그

전체댓글 0

  • 2986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92)] 부여된 임무 완수를 위한 죽음과 삶의 갈림길에서 고민과 두려움 느끼며 유종지미(有終之美)를 ....((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