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0(월)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12연대는 13일 공격을 실시해 수암산을 탈취했으나 유학산을 점령하는데 실패했다. 유학산은 지역에서 가장 높은 고지로 중요한 요충지라 1사단은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이곳을 탈취해야 했다.

 

14일 새벽 인민군 3사단 1개 연대가 328고지를 공격하는 시각에도 12연대는 유학산을 계속 공격했다. 15연대는 328고지를 빼앗겼다가 고전 끝에 탈환에 성공하는 것을 반복하는 혈투를 벌였지만, 결국 12연대는 유학산 점령에 실패하고 말았다.

 

당시 대한민국 정부의 모든 기능이 집중되어 있었던 대구만이라도 점령하라는 김일성의 독전으로 광복절에 다부동으로 총공세를 감행하여 사단 좌익 15연대는 328고지를 빼앗긴 채 고전했고 진목정에서는 진전없이 피만 흘리는 격전이 계속되었다.

 

그런데 이때 좌익 11연대를 공격한 인민군 13사단이 야간을 이용하여 진목동까지 침투하여 사단 주저항선이 돌파되고 말았다.


 

육대백선엽.png
▲ 6.25남침전쟁시에 1사단장으로 다부동지구전투에서 북한군을 성공적으로 저지시킨 전쟁영웅 백선엽 장군이 작전지시를하는 모습[사진=전사편찬연구소]

 

백선엽, 권총 들고 내가 두려움에 밀려 후퇴하면 너희가 나를 쏘아라!

 

이와 같이 11연대 일부 부대가 북한군에게 밀려 자칫 미27연대 측면이 뚫릴 위험에 처했다. 다급해진 미 연대장이 백 사단장에게 “한국군은 도대체 싸울 생각이 있느냐?”고 힐난했다.

 

미군의 볼멘소리를 듣자마자 백선엽 장군은 유학산 아래에서 백병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도망병이 발생하던 328고지 쪽으로 달려갔다. 그리고 일장 연설을 했다.

 

“지금까지 잘 싸웠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물러설 곳이 없다. 여기서 밀린다면 우리는 바다에 빠져야 한다. 저 아래에 미군들이 있다. 내가 앞장서겠다. 내가 두려움에 밀려 후퇴하면 너희가 나를 쏘아라. 나를 믿고 앞으로 나가서 싸우자!”

 

그리고 백선엽은 허리춤에 찼던 권총을 빼들고는 땅바닥에 주저앉은 11연대 1대대 장병들의 중간을 가르면서 달려 나갔다. 다급한 상황에서 솔선수범하며 몸소 보여주었던 ‘사단장 돌격’이었다.

 

사단장의 독전과 솔선수범에 감동한 병사들이 되살아난 ‘임전무퇴’의 화랑도 정신에 불타며 용전분투(勇戰奮鬪)하여 뺏고 뺏기기를 열다섯 차례 반복한 끝에 북한군의 공격을 막아내며 방어에 성공하게 되었다.

 

이는 백선엽 장군이 진목동 방면으로 나가 혼란속에 후퇴하고 있는 11연대 1대대를 수습하여 328,673고지로 역습하는 한편, 좌측에 있던 12연대 1대대를 인민군 전차가 돌파한 진목정으로 급파하여 적의 돌파구를 봉쇄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었다. (다음편 계속)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0057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119)] 다부동지구 전투 전쟁영웅들의 현장 체험담 ⑦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