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전쟁사(141)] 미 공군도 실패한 평양 승호리철교를 폭파시킨 한국공군⑧
한국 공군의 전투작전 능력은 6·25남침전쟁 발발이후 4단계를 거쳐 발전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개전 초기에 전투가 불가능한 극심한 전력 불균형 상태에도 불구하고 한국공군은 연락 및 정찰용 항공기에서 손으로 일반 폭탄을 투하하는 항공전 사상 유례가 없는 작전형태를 보였으나 공군의 전투작전 능력은 이후 4단계를 거쳐 발전하게 된다.
그 첫 번째 단계는 1950년 6월25일부터 1951년 3월31일까지 미군 조종사의 요기(僚機)로서 전투에 참여한 제1작전기다. 이때 전쟁 발발 약 일주일이 지난 시점인 1951년 7월2일 F-51기 10대를 도입, 보유하게 됨으로써 한국 공군 사상 최초로 공중 전투력을 보유하게 됐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F-51 전투기 보유량을 확대했다. 참고로 항공기 보유량 추이를 살펴보면 1950년 12월에F-51기 8대를 추가해 총 19대, 1951년 12월에는 총 44대, 1952년 12월에는 총 75대, 휴전이 성립된 1953년 7월에는 총 118대로 증가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1951년 4월 1일부터 9월 18일까지 제주기지로 이동해 F-51에 대한 본격적인 훈련을 받은 이후 백구부대작전과 1차 지리산 공비토벌 작전을 통해 단독출격 능력을 배양하고 미 공군에 능력을 검증받아 단독출격 능력을 인정받는 제2작전기에 이른다.
김영환 대령이 강릉전진기지로 부임했던 1951년 9월28일부터 1952년 10월 27일까지 제3작전기에는 단독출격을 위해 강릉기지로 10전투비행전대를 전개해 동부 및 중ㆍ서부지역에 대한 항공차단작전에 치중해 실시했으며, 이때 승호리철교와 송림제철소 폭파와 평양 대폭격 작전 등의 쾌거를 달성했다.
1952년 10월 28일부터 1953년 7월 27일까지 제4작전기에는 한국 공군과 육군 간 공지합동작전에 주력하면서 후방차단작전과 351고지전투 항공지원작전 등을 성공적으로 실시했다.
이로써 한국 공군은 MIG-15 요격임무와 같은 제공 임무를 제외한 모든 대지공격 작전이 가능한 면모를 갖추게 됐다.
병력면에서 살펴 보면 창군 당시에는 장교 143명, 항공병 1376명, 항공사관학교 사관후보생 97명을 포함 총 1616명이었으며, 개전 시 병력은 장교 242명을 포함 총 1897명이었다. 그러나 1953년 7월 정전 시에는 1만1461명으로 증가했다.(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