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4(일)
 
사천강 상황도.png
▲ 좌측 중공군 정면에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사천강이 있고, 그 동측을 연해 전초진지인 우일선 대대의 67m, 36m, 33m, 31m고지와 그 밑에 좌일선 대대의 87m고지, 중앙에는 각 대대의 거점, 그리고 동쪽에서 서남방향으로 흐르는 임진강이 있는 해병 1연대의 배치도와 우측그림은 서부전선에서 중공군 4개 군단과 대치하고 있는 미1군단의 상황도 [사진=해병대/육사 한국전쟁사부도]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중공군들은 우리 해병을 임진강 넘어로 퇴각시키고 광활한 평야인 장단반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수도 서울을 압박하기 위해 집요한 공격을 계속했다. 그러나 우리의 무적해병 1연대는 임전무퇴의 정신과 필히 사수하겠다는 전투의지로 효과적인 방어를 통해 적들을 격퇴했다.

 

이때 우일선 대대인 3대대의 상황은 상기 배치도의 맨 위쪽에 위치한 전초진지 67m고지 공격에 실패한 중공군이 공격 방향을 36m, 33m, 31m고지로 전환해 공격하는 등의 치열한 전초진지 전투가 계속됐다.

 

특히 이 전초진지들은 대대의 주진지로부터 2km 이상 전방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중공군들은 그들이 원하는 시간과 방향으로 공격할 수 있어 전면방어가 가능하도록 진지와 교통호를 구축했으며 철조망을 4~5중으로 설치하고 주요 접근로에는 지뢰까지 매설하여 대비했다.

 

좌일선 대대인 2대대는 최초에는 전초진지인 87m고지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았다. 왜냐면 주진지로부터 4 km나 이격되어 전초진지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고 주변은 평야지대라 모든 활동이 적에게 노출되어 적의 포병사격에 취약했기 때문이었다. 대신에 주간의 수색정찰로 이 공간을 통제를 대신했다.

 

이는 우리 해병보다 중공군에게 더 근접되어 있는 전초진지인 87m고지앞에 흐르는 사천강을 포함해 피아간 주진지의 대치 거리가 5km 이상 되기 때문이었고, 따라서 87m고지에 병력이 배치되기 전까지 평온한 시간을 보내며 방어진지를 보강하고 있었다.

 

당시 수시로 미 해병대 전차 20대와 한국 해병대 전차 5대 그리고 ‘수류탄 돌격 소대장’으로 불리며 도솔산 전투의 영웅이었던 이근식 중위가 지휘하는 5중대가 한미 보전협동작전으로 87m고지까지의 수색정찰을 했다.

 

8월 초에는 수색작전을 마치고 복귀중 대대의 주진지 도로 앞에서 미 해병대의 선두 전차가 고장으로 정차하여 수리후 재출발할 시점에 적의 포탄이 떨어져 전차위에 탑승하고 있던 해병들이 전사했다. 그는 중대장 재직중 유일한 피해라며 안타까워 했다.

 

이때 가장 아쉽게 생각했던 점은 우리 해병이 미 해병 1사단의 작전통제를 받고 있어서 작전명령에 의해 공격은 못하고 방어만 했다는 것이다. 이근식 중위는 “싸움이란 서로 치고 박고해야 재미있고 신도 나는데 두들겨 맞고만 있으라니면 그게 어디 싸움인가?”라며 “이때의 우리 해병들이 이런꼴이니 지칠 수밖에 없었다”고 한탄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 87m고지 쟁탈전이 시작되어 그 치열함이 처절했고 몇주간의 전투 끝에 결국 중공군의 수중에 들어갔다. (다음편 계속)


태그

전체댓글 0

  • 714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전쟁사(145)] 해병대의 '장단·사천강지구 전승'으로 서부전선을 지켜... ③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