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타산지석(他山之石)은 ‘시경(詩經)’ 소아편 학명(鶴鳴)에 나오는 다음과 같은 시의 한 구절에서 유래되었다.
“낙피지원(樂彼之園) 원유수단 爰有樹檀) 기하유곡(其下維穀), 타산지석 (他山之石) 가이공옥(可以攻玉)” 즐거운 저 동산에는 박달나무 심겨 있고 그 밑에는 닥나무 있네, 다른 산의 돌이라도 이로써 옥을 갈 수 있다”는 의미의 시이다.
타산지석 (他山之石)은 돌을 소인에 비유하고 옥을 군자에 비유하여 군자도 소인에 의해 수양과 학덕을 쌓아 나갈 수 있음을 이르는 말로 “여든 노인도 세살 어린이에게 배운다”는 우리말 속담과 유사한 사자성어이다.
수방사 작전과로 보직 받고 업무를 시작할 때, 군·관·민 모든 분야의 업무를 정통하며 일의 성취를 위해서 감행하는 저돌적인 추진력에 감탄했던 00과장에 대한 일말의 존경심이 있었다. 필자는 그에게서 업무능력을 익히는데 매우 좋은 기회가 된다고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얼마 후에 그는 충동적인 안하무인(眼下無人)식으로 약해보이는 주변 동료 과장들과 부하들을 철저히 불신하며 상급자 및 잘나가는 사람에게는 공손한 약육강식(弱肉强食)의 의미에 부합되면서 표리부동(表裏不同)한 면도 보이는 타산지석(他山之石)의 표상이 되었다. (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