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09-24(일)
 
수방사방패2.png
▲ 방패훈련시 지하철 역사에서 화학작용제에 중독된 민간인을 구조하며 지역을 제독하는 시범을 보이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방패 훈련을 위한 세부 지침의 초안을 작성하여 과장에게 보고했지만 호되게 욕만 먹고 퇴자를 받자,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라는 영화처럼 그래 어디까지 떨어지는지 끝까지 한번 버텨 보자는 오기가 발동해 다시 작성하여 보고했다. 


1차 보고시에 과장이 빨간펜으로 수정한 것을 고친 것은 물론 추가 착안한 사항까지 포함하여 심혈을 기울여 작성했고, 혹시 몰라 선임장교의 사전 검토도 받았다. 


헌데 다시 과장에게 보고에 들어간 필자는 지난번에 심한 질책을 받으며 퇴자를 받은 터라 위축되어 있었다. 검토를 하던 00과장은 본인이 수정한 문구는 물론 추가로 착안하여 포함시킨 사항까지 트집을 잡았다.  


과장이 트집을 잡은 문구는 과장 본인이 수정한 곳인데 필자보고 개념이 없다며 또 추궁하기 시작했다. 그는 검토하면서 본인 스스로가 점점 달아오르더니 급기야는 충동적으로 버럭 고함을 질렀다. 


드디어 “육군대학 졸업 성적이 어떻게 되냐? 꼴찌한 것 아니냐?”로부터 시작해서 “육사 졸업은 제대로 했냐? 중·고등학교는 어디 나왔냐? 그 학교 수준이 이것 밖에 안되냐?” 심지어는 “유치원은 나왔냐?”까지 언성을 높혀 화풀이하듯 질타하며 인신공격을 계속했다. 


당시 필자는 과장 본인이 수정한 문구도 개념 없다고 질타하며 인신공격하는 그의 화풀이를 들으니 모든 것을 때려치고 싶은 심정이었다. 게다가 작전과 선임장교를 추가로 불러 “후배 교육을 어떻게 시킨 것이냐?”며 결재판을 또 집어 던졌다. 


잘못이 없이 필자 때문에 불려온 선임장교는 이 보고서는 본인이 다시 작성하겠다며 연신 죄송하다는 대답만 하다가 과장실을 함께 나왔다.


제 자리에 돌아온 필자와 선임장교는 아무런 말도 못한 채 또다시 담배를 빼어 물었다. 재보고에서도 혼이 쑥 빠지게 야단을 맞고 인간적인 모욕까지 당한 필자는 한없이 땅속 깊은 곳으로 추락하는 기분이었다.  


그때 옆 동료가 조용히 다가와 보고 시기가 좋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방금전 00과장이 상급자에게 꾸지람을 듣고 인접 과장과는 한판 붙은 뒤에 들어온 터라 감정이 격해 있을 때 보고를 들어갔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 “타산지석(他山之石)으로 여기고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는 것이 좋겠다”고 필자를 위로했다. (다음편 계속)


태그

전체댓글 0

  • 2301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177)] 애환·비참·처절한 추락이 성공의 밑거름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