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올해 3285억원을 투입해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SW) 분야 인재 2만1500명을 양성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산업계 인력난 해소를 위해 마련한 '민·관 협력기반 SW인재양성 대책'에 따라 연간 양성규모를 확대하고 교육기회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비전공자 등 청년 구직자들이 디지털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청년미소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기업주도형 민·관 협력 교육 과정으로 ‘캠퍼스 SW 아카데미’와 ‘네트워크형 캠퍼스 SW 아카데미’를 신설해 550명의 인재를 양성한다. 또 600명 규모로 중소·벤처기업이 직접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고 채용까지 하는 '기업 멤버십 캠프'를 시작한다.
올해도 SW 교육기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와 멘토링 제공 프로그램 'SW 마에스트로'가 운영된다. 지역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이노베이션 스퀘어'에는 현장실습 과정이 신설된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SW 중심대학 9개를 신규 선정해 총 44개교를 운영한다. 특히 과기정통부는 AI 융합혁신 인재양성 사업을 신설해 이를 수행할 대학원 5개를 선정할 계획이다. 최근 부상하고 있는 메타버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메타버스 아카데미 2개를 신설하고 메타버스 융합대학원 2곳도 개원한다.
전통산업 재직자와 더불어 초중고 학생 및 군 장병을 대상으로 한 AI·SW 교육도 추진된다. 초·중·고 대상 운영하는 AI 선도학교는 1천개로 확대한다. 군 장병 2천여명은 온라인 AI·SW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SW정책관은 "청년 누구나 원하는 교육 과정을 이수하고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며 "과기정통부는 향후 초·중·고 학생부터 청년, 재직자에 이르기까지 생애 전 주기 디지털 교육 지원체계를 더 공고히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