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5(화)
 
수방사필동6.png
▲ 과거 수방사 자리에 조성된 필동 ’남산골 한옥마을‘ 입구에 건립된 ’충정사‘ 법당 모습 (사진=김희철)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법사의 방에 끌려 들어가 다도상을 가운데 두고 마주 앉았다. 법사는 커피포트의 가열 스위치를 올리고 옆에서 버섯같이 생긴 보이차 덩어리를 쪼개어 차를 준비하며 “김소령님, 이것은 보이차라는 것인데 몸에 좋습니다. 한번 마셔보셨나요..?”하고 말문을 열었다.  


다도(茶道)란 차와 더불어 참된 사람의 길을 걷자는 천리(天理)를 행한 구심적인 행위를 말하는 데 비하여 다례(茶禮)는 차를 마시는 것을 중점으로 하는 예의범절, 즉 예(禮)나 몸가짐 그리고 차와의 조화를 중심으로 한 분위기와 지식 등을 일컫는 것이다. 


사람(人)·귀신(神)·부처님(佛)에게 차탕을 바치는 예의를 다례라고 하며, 이러한 다례의 종류가 많은데 신라·고려·조선 왕조의 조정에서는 이웃 나라의 사신을 영송하는 다례와 왕실의 궁중다례, 유가·불가·도가의 종교적인 다례, 여염집에서의 손님맞이 다례 등이 있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다례는 통상 차를 마시는 간단한 예법을 일컫는 실용다법을 뜻한다. 


난생처음으로 정성스레 달인 보이차 몇 잔을 마시자 초겨울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고 온몸이 후끈 달아오르며 이마에 땀이 송송 맺히기 시작했다. 군인아파트 같은 동의 윗집에 살고있는 법사도 필자가 수방사에 처음 보임되어 힘들게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잘알고 있었다. 


헌데 법사의 정감어린 덕담과 강의를 통해 찻잔을 잡는 법과 마시는 요령 등 다례를 배우며 사무실에서 정신없이 바쁘게 지낸 지난 시간들의 스트레스를 한꺼번에 날려보내고 따뜻한 평안을 찾을 수 있었다. 


법사는 보이차를 따르며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필자에게 서산대사의 임종게([臨終偈)로 알려져 있고 불교 의식집인 ‘석문의범(釋門儀範)’의 영가법문(永嘉法文)에 수록된 구절인 ‘공수래공수거시인생(空手來空手去是人生)’를 화두로 던졌다.   


즉 사람은 빈손으로 세상에 태어나고 죽을 때도 아무 것도 소유하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므로, 뜬구름 같은 삶을 사는 동안 물질적인 것에 얽매이지 말고 인생을 초연하게 살아가라는 의미라며 필자가 겪고 있던 애환과 비참하고 처절하게 추락하던 상황에 대해 위로했다.


또한 공왕공래(空往空來)라고도 할 수 있고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의미하는 일장춘몽(一場春夢), 인생무상(人生無常)도 같은 뜻이라며, 오늘의 역경이 훗날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격려를 해주었다.(다음편 계속)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6251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188)] 업무 스트레스 날려보내며 평안 찾았던 보이차(중)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