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0(월)
 
▲ 사이버 안보 전문가들이 8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 충무홀에서 열린 ‘2017년 한국안보협업연구소 사이버안보’ 세미나에 참석해 토론하고 있다.(사진 왼쪽부터 박남희 국방부 사이버정책담당관, 손영동 한양대학교 융합국방학과 초빙교수, 김한경 한국안보협업연구소 사이버안보연구센터장, 김승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김한성 국군사이버사령부 사이버방호센터장, 박재경 한국폴리텍대학 교수 ⓒ뉴스투데이



(안보팩트=김성권 기자)


‘사이버 리더십’의 부재로 해킹 공격에 속수무책

정부 차원에서 사이버 전문 인력 육성해야


‘2017년 한국안보협업연구소 사이버안보’ 세미나의 두번째 세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사이버 안보에 대한 국·내외 대응 능력과 사례 비교를 통한 ‘사이버 리더십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일어난 다양한 사이버 침해 사례 자료가 소개됐다.

김한경 한국안보협업연구소 사이버안보연구센터장이 준비한 ‘국내·외 대응능력과 사례를 비교한 사이버리더십 제고 방안’ 자료에는
지난 2016년 9월 발생한 ‘군 국방망 해킹 사고’와 올해 3월 악성코드에 감염돼 피해를 입은 ‘현금자동인출기(ATM) 금융정보 유출’, 얼마전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에 의해 피해를 입은 사고 등이 사례로 제시됐다. 미국 위성망 해킹과 영국 테스코 은행 해킹 등 해외 침해도 비교 분석됐다.

다양한 형식의 사이버 침해 사례를 통해 지적한 문제는 전방위적인 공격에 대한 ‘사이버 리더십’의 부재이다. 이로 인해 대응을 위한 시간이 오래 걸리고 국가나 기관 간 공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대응이 절대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사이버 리더십의 발전 방안으로 제안된 내용은 사이버 공간을 ‘국가 주권 수호를 위한 전장’으로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군·관 연계 미래로드맵을 설계해 공동으로 연구하는 한편 국가간 공동대응과 정책 공유, 사이버 전문 인력의 육성과 관리가 뒤따라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7036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안보협업연구소 사이버안보 세미나]⑤전문가들 "정부 주도 ‘사이버 안보 리더십’ 필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