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안도남 기자] 방위사업청은 군·정부 주요시설에 '안티 드론' 방어체계 구축에 나선다. 이를 위해 방사청은 다음 달 8일까지 총 485억5천만원을 들여 '중요지역 대드론통합체계'를 국내에서 구매하기 위한 입찰을 진행한다.
방사청에 따르면 이번 입찰은 공군 기지와 해군 항만 등 육·해·공군 주요 시설과 정부 기관을 노린 적의 무인기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사업은 지난 연말 북한의 무인기 침투 이후 군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 대응책 중 하나로, 당시 군은 민간 피해를 최소화하는 가운데 적 드론을 타격할 수 있는 다양한 타격체계를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드론을 잡는 방법은 크게 ▲드론을 직접 파괴하는 '하드 킬'(Hard Kill)과 ▲무력화에 중점을 둔 '소프트 킬'(Soft Kill)로 나뉘는데, 이번에 도입하는 대드론통합체계는 '소프트 킬' 방식을 사용한다.
방사청은 초소형 드론을 탐지·식별한 후 전파 교란(재밍)을 통해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드는 방어체계라고 설명했다.
방사청이 지난달 30일 개최한 사업설명회에는 전파 교란 방식의 드론 방어체계를 연구해 온 국내 업체들이 참여해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주한미군은 이미 군산기지 제8전투비행단이 소형 무인기를 탐지·식별하는 이동식 레이더(X-MADIS)와 드론에 방해 전파를 쏠 수 있는 소총 형태의 '드론 버스터'를 운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