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를 뿌러뜨려 막다른 길로 접어들게 만드는 것이 영어반 시험에 확실하게 합격할 수 있는 비법
댓글 0
기사입력 : 2023.08.23 11:11
필자는 좌측 종합행정학교에서 영어반교육을 받았고 최근에 학생군사학교가 발표한 육군 군사영어반 선발계획 [사진=육군 종합행정학교/학생군사학교]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필자가 병원치료를 마치고 부대로 복귀했을 때 주변 선배들이 재활 치료 기간이 많이 남아있어 바로 대대장 취임은 어려우니 차라리 6개월 짜리 ‘군사영어반(당시 장교영어반으로 호칭)’에 입교하여 교육을 받으며 재활치료를 한후에 대대장으로 취임하는 것을 제안했다.
그때부터 11월 종합행정학교에서 치뤄야할 ‘군사영어반’ 입교 시험준비에 돌입했다. 과거 수방사 근무시에 유학반 시험 준비를 하다가 포기한 경험이 있어 이번에는 고배를 마시지 않겠다는 각오로 준비를 했고 재활치료를 하다보니 야전에서 근무하던 타장교들보다는 공부할 여유도 더 있었다.
그 와중에 육군대학 대대장반에서 모 장교가 교통사고를 당해 광대뼈가 부서지는 등 심한 상처를 입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필자도 교통사고로 입원하여 진료를 받던 그동안의 많은 일들이 떠오르며 그 장교도 무사히 치료를 마치고 원복하기를 기원했다.
또한 지난 8월3일 오후 성남 서현역에서 묻지마 칼부림 사건이 발생해 시민들을 공포에 떨게 한 것처럼 당시에도 지존파의 부녀자 38명 살해 계획 실행, 군에서도 총기난동 사건 등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는 현대 젊은이와 사회의 무책임한 자유와 방종 그리고 이기주의가 양상시킨 비극이었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사건들에 신경쓸 겨를이 없었다. 재활치료로 부대에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해소할 수 있는 길은 장교영어반이 유일한 탈출구였다.
결국 그해 11월초에 종합행정학교에서 시험을 치뤘지만 그 결과는 부족한 내 자신의 재확인이었다. 합격할 자신이 없어지자 눈앞이 깜깜해지며 필자가 서있을 곳을 잃어버린 느낌이었다. 5대1 경쟁율의 시험에 응시한 많은 장교들이 필자보다 더 똑똑하고 유능해 보였기 때문이었다.
헌데 열흘이 지나서 육군본부 인사처에서 합격했다는 통지를 받았다. 천운이 따른 덕택이었다. 그리고 잠시 잃어버렸던 내 자신과 목표를 다시 찾았다.
합격자가 발표되자 몇 명의 지인들에게서 전화가 왔다. 축하에 앞서 어떻게 공부해야 합격할 수 있냐는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그때 교통사고로 대퇴부가 분쇄골절된 경험을 한 필자는 명확하게 대답할 수 있었다.
필자는 그들에게 “시험 준비도 중요하지만 다리를 뿌러뜨려 막다른 길에 접어들게 만드는 것이 확실하게 합격할 수 있는 비법이다”라며 미소로 답했다. 비록 시험 결과는 자신이 없었지만 다른 응시자들과 비교해 다른 것이 다리골절이었기 때문에 표현했는데, 그들은 재미있다며 바로 본인도 다리를 뿌러뜨리겠다는 우스개 소리를 했다. (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