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4(월)
 


재활치료2.png
동서독 통일 당시에 독일에서 군사과정을 다녔던 김영식 동기의 제1군사령관재직시 모습과 ‘동서독 통일과정에서의 군통합에 관한 연구’란 제목의 논문 표지 [사진=김희철]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편 필자가 육군대학 정규과정 교육받을 때 졸업 후에 수방사로 같이 부임하게 될 박래호 선배의 강력한 권유로 부대 인접 동국대학교 석사과정을 지원했었다.  


수방사 작전장교 근무는 시간적 여유가 없을 것 같아 포기했는데 통신단으로 명령을 받은 박 선배가 이때 아니면 공부할 기회가 없다며 걱정말고 일단 응시하라고 설득했던 결과였다. ([김희철의 직업군인이야기(120)] 이별은 새로운 만남을 위한 징표(하) 참조) 


허나 이미 동국대학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한 지 5년이 다 되어 이번 학기가 석사 논문을 제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다. 급해졌다. 그때 독일 통일 당시에 독일에서 군사과정을 다녔던 김영식 동기(전 1군사령관)가 떠올랐다. 김 장군은 흔쾌히 귀국보고서를 필자에게 제공했다. 


그때까지도 교통사고 후유증으로 골반과 다리에 통증은 있었으나 학위를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놓칠 수는 없었다. 거의 석달 가까이 자료를 정리해서 ‘동서독 통일과정에서의 군통합에 관한 연구’란 제목에 ‘남북한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란 부제목의 논문 초안을 정용길 지도교수에게 보고했다. 


목발을 짚고 절뚝거렸지만 절실하게 학구열에 불타는 필자의 모습을 바라보며 논문을 검토하던 정 교수는 신통하다는 표정으로 새로운 착안이라고 칭찬을 해주었다. 왜냐면 당시에는 독일통일에 관련한 자료와 논문은 많았지만 군사분야는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또한 군사영어반 교육이 논문준비에 유리한 여건이 되기도 했다. 


돌이켜 생각하면 고마운 김영식 동기가 제공한 귀국보고서를 기초로 국방백서 등 각종 자료를 참고하여 남북한 통일시에 어떤 군사력을 보유할지를 분석한 논문 작성은 육군대학에서 박 선배의 강력한 권유가 소중한 계기가 되었다. 사실 부대 임무를 우선했던 필자는 그때 아니면 석사 학위를 받을 기회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이로써 야전만을 전전하며 실무에 찌들렸던 필자는 재활치료 위기로 오히려 군사영어반에 다닐 수 있었고 석사학위도 받았다. 덕분에 땅속에서 유충으로 살던 매미가 지상으로 올라와 껍질을 벗고 성충이 되어 하늘로 날아가고, 뱀이 묵은 허물을 벗고 크게 성장하는 ‘선태사해(蟬蛻蛇解)’의 호기가 되었다. (다음편 계속)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8228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380] 교통사고 위기극복의 여정⑮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