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3월6일(음력 1월27일)은 대한민국의 상징인 ‘태극기’가 탄생한 소중하고 특별한날이다.
우리나라에서 국기제정에 대한 논의가 처음 있었던 것은 1876(고종13)년 1월이었다.
운양호사건을 계기로 한 · 일 사이에 강화도조약체결이 논의되는 동안, 일본측은 ‘운양호에는 엄연히 일본국기가 게양되어 있었는데, 왜 포격했느냐?’면서 트집을 잡았지만, 조선 측에서는 ‘국기’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 수 없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자 국가를 상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조선 임금의 어기인 "태극팔괘도"가 있었지만 조정에서 비로소 국기제정의 필요성이 활발히 논의되었다.
당시 청(淸)나라는 자국의 국기인 '용기(龍旗)'를 약간 변형하여 사용할 것을 조선 정부에 요구하였다. 이에 분개한 고종은 이를 거부하고, 청색과 적색으로 이루어진 태극원과 사괘를 그려 국기로 정한다는 명을 내렸다.
그런 와중에 1882(고종 19)년 5월22일에 체결된 조미수호 통상조약 조인식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조약 조인식에서 역관 이응준이 태극기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국기 제정의 필요성을 느낀 조선 정부는 종전의 '태극 도형기(太極 圖形旗)'에 8괘(卦)를 첨가하여 '태극·8괘 도안'의 기를 만들었다.(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