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큐리티팩트=김상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청소년의 40.8%, 성인 8%가 사이버폭력을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이 수치는 전년도에 비해 사이버폭력 경험 청소년 비율은 0.8%p, 성인은 1.6%p 감소했다. 코로나19 펜데믹 종식에 따른 온란인 활동 의존도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함께 청소년(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과 성인(19~69살) 1만6천86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사이버폭력의 가·피해 경험은 청소년·성인 모두 남성, 청소년은 중학생, 성인은 20대가 높았고, 청소년은 온라인 게임(48.3%), 성인은 문자 및 인스턴트 메시지(64.2%)를 통해 가장 많은 사이버폭력을 행사했다.
특히 청소년과 성인 모두 메타버스 상에서 사이버폭력 가해 경험이 전년 대비 증가(청소년: 1.6%→1.9%, 성인: 0.8%→3.5%)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된 사이버폭력 가해 동기에서 청소년은 ‘보복(38.6%)’, 성인은 ‘상대방이 싫거나 화가 나서(26.4%)’로 나타났다. 청소년은 사이버폭력 가해 후 사안이 심각하고 죄의식을 느낀다고 하면서도 놀이 또는 유희적 행위로 인식하는 경향이 전년에 비해 증가(13.3%→17.2%)했다.
청소년 14.2%(1.7% 증가), 성인 11.7%(2.9% 감소)는 디지털 혐오(국적·인종, 종교, 성소수자, 장애, 성별, 신체·외모, 다문화, 노인·특정세대, 저소득층, 학벌·학력, 지역, 정치성향 등 비하) 표현을 경험했다는 결과도 나왔다.
청소년 10.0%(전년 동일), 성인 15.0%(0.5% 증가)는 디지털 성범죄를 목격했다는 답변을 내놨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기존에 추진해 오던 사이버폭력(언어폭력, 명예훼손 등)에서 디지털 혐오 표현, 딥페이크(가짜뉴스), 메타버스 윤리교육 등으로 교육 주제를 확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