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군인 사용설명서(416] 재활치료의 위기를 호기로 만드는 비법⑯
故 이영대 장군, 교통사고에 따른 재활위기를 호기로 만들 수 있게 여건을 만들어 준 은인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편 부대에서는 이상신(갑종197기) 사단장이 필자가 37일간의 입원치료를 받고 퇴원하며 부대에 들려 신고도 안하고 임의로 군수학교 교육에 입소하는 것은 소속을 무시한 괘씸한 행동이라며 인사 조치를 못한 인사참모와 군수참모에게 꾸지람을 하며 오해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필자는 사단장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냈다. 수술후에 목발을 짚고 있는 또 모습을 보이는 것이 송구스러웠고 군수참모도 입교일이 다급하니 어느정도 회복되면 빨리 퇴원해서 우선 군수학교로 입교하라는 조언에 그만 무례를 범했다는 용서를 구했다.
또한 과거 수방사에서 사단장은 동원처장으로 필자는 작전장교로 함께 근무했음을 은근하게 표현하여 부드럽게도 만들었다.
사실 군수관리학교 교육중 휴일에 주로 찾아간 곳은 김포(현재 성남으로 이전)에 있는 수도통합병원이었다. 그곳에는 필자와 함께 당시 이상신 사단장이 대령 계급으로 동원처장으로 근무했던 수방사의 참모장이자 28사단장을 역임한 고(故) 이영대(학군4기) 장군이 췌장암으로 치료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고(故) 이영대 장군은 필자가 수방사에 이어 28사단에서도 사단장으로 모셨다. 헌데 필자의 교통사고 당일에 박기준 장군에게 사단장직을 이임하는 이취임식이 열렸었다. 그는 사고 소식을 듣고는 후임 사단장에게 선처를 부탁한 덕에 이처럼 군수관리학교에서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게 여건을 만들어 준 은인이었다.([김희철의 직업군인이야기(190~192)] ‘잔인한 4월도 나에게는 축복이었다’참고)
이 장군은 육본 감찰실장으로 근무하며 중장 진급이 거의 확정적일 때 췌장암이 발견되어 병원치료를 받고 있었다. 방문 당시에는 악화된 상태로 살이 모두 빠지고 앙상한 몸이었지만 필자의 손을 잡고 여유있게 미소지으며 “희철아, 너는 스트레스를 절대 받지 말고 군생활 잘해라”라고 오히려 목발을 짚고 있는 필자의 건강을 걱정해주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는 얼마 후 먼길로 떠나셨고, 현재는 동작동 국립현충원에서 필자에게 미소를 보내며 영면에 들어있다.
한편 군수관리학교장 이상선 장군은 입교하는 학생장교들의 학습 독려를 위해 과정 수료와 동시에 개인성적표를 사단으로 보내는 방침을 시행했다. 통보된 서신에는 위의 사진과 같이 필자가 1등하여 교육사령관 표창을 받았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수방사에서 동원처장과 작전장교로 함께 고(故) 이영대 장군을 모시며 근무한 인연도 있었지만, 군수관리학교장이 보낸 서신을 보고받자 사진과 같이 ‘Good’ 표시를 하면서 오해는 풀렸다. 그러나 이상신 사단장은 이 서신을 보고 필자를 군수직능으로 계속 알고 있었다는 또다른 오해는 남아있었다는 후문이다. (다음편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