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0(목)
 
이미륵1.png
한국어로 번역되어 국내 방송드라마로 방영된 ‘압록강은 흐른다’ 소설과 고(故) 이의경(미륵) 독립유공자 생전 모습 [사진=국가보훈부]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2008년 국내에서 최고 시청률을 올리며 방송드라마로 방영된 ‘압록강은 흐른다(Der Yalu fließt)’는 이의경(미륵) 작가의 유년 시절부터 독일 유학에 이르기까지의 체험을 회상 형식으로 서술한 근대화에서 식민지 시대에 이르는 역사적인 변혁기를 배경으로 그려낸 소설이다.


필명 ‘미륵’은 본래 어머니가 지어준 어릴 때의 아명이고 본명은 의경(儀景)이다. 황해도 해주의 부유한 가정에서 세 누이를 둔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해주보통학교를 졸업하던 만 11세 때 6년 연상의 아내를 맞아 1남 1녀를 두었다. 해주보통학교를 졸업했으나 당시 해주군에는 고등보통학교가 없어 강의록으로 독학하여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진학했다. 


경성의학전문학교 재학 중이던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뒤 그해 5월 외교활동을 독립운동의 행동지침으로 표방한 '대한민국 청년외교단'에 입단했고, 동지 포섭 및 독립운동 자금 모금에 힘을 쏟는 한편, 편집부장을 맡아 기관지 ‘외교시보’ 등 선전물의 발간을 주도했다. 


또한 1919년 8월29일 경술국치 기념일에 벌일 만세시위를 위해 ‘경술국치 경고문’ 등 선전물의 인쇄에 대한 책임을 맡았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해 중화민국 상하이시에 건의문과 독립운동 자금을 휴대해 납부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그러나 그해 11월 말 일본 제국 경찰에 활동정보가 노출되면서 핵심 인물들이 체포되자 이미륵 또한 쫓기는 신세가 되어 중국 상해로 망명해 대한적십자대에 들어갔고, 대원으로 간호사를 교육시키는 일을 하면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일을 도왔다.


1920년 5월 안중근의 사촌 동생인 안봉근과 요셉 빌헬름 선교사의 도움으로 독일로 건너갔다. 같은 해 6월29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열린 궐석재판에서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독일에서 처음에는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각각 의학을 공부했으나 모두 중퇴하고 1925년 뮌헨 대학교 동물학과에 편입해 졸업했다.


뮌헨 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이던 1927년 2월10일, 벨기에 브뤼셀 에그몽 궁전(Egmont Palace)에서 열린 세계피압박민족 반제국주의대회에 김법린·이극로·황우일 등과 함께 한국 대표로 파견돼 21개국 174개 단체 대표단 앞에서 일제 식민통치의 부당함을 성토하고 3.1운동 당시의 기미독립선언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통해 일제의 조약을 무효화하고 임시정부를 인정해 달라는 결의안을 발표하는 등 활약했다. 


이듬해인 1928년에는 뮌헨 대학교 대학원에서 동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취득 후 본격적으로 습작활동을 시작하여 1931년 독일 문예지 'Die Dame'에 최초의 단편 ‘어느 날 밤 골목길에서(Nachts in einer koreanischen Gasse)’를 발표했다.


1946년 피퍼출판사(Pipper)에서 독일어로 쓴 자전적 소설이자 자서전인 첫 작품 ‘압록강은 흐른다(Der Yalu fließt)’를 발표하여 초판이 매진될 정도의 반응을 불러일으키면서 독일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수 개 나라에서 번역되었고, 독일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될 정도로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당시 '금년 독일어로 쓰인 가장 훌륭한 책'으로 선정되며 평단으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독일의 교과서에도 수록되었다. 이로서 이미륵은 유럽 최초의 한류스타가 됐고, 소설 ‘압록강은 흐른다’는 1960년 전혜린에 의하여 우리말로도 번역되었다. 


이후 1947년부터 뮌헨 대학교 동양학부에서 한국어와 동아시아문학사, 일본중세문학 등을 강의했다. 그의 제자로 볼프강 바우어(Wolfgang Leander Bauer) 등이 있는데, 이들은 독일의 주요 동양학자가 되었다. 한국 전쟁을 앞둔 1950년 3월20일에 위암으로 독일 뮌헨 그레펠핑에서 사망했다. 향년 51세였다. 그는 망명 뒤 죽을 때까지 한국 땅을 다시 밟지 못했다. (다음편 계속)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0055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김희철의 CrisisM] 이미륵을 독일 한류스타로 만든 ‘압록강은 흐른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