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20(월)
 


강릉침투0.png
당시 작전중 전사한 오영안 대령, 서형원 대위, 강민성 상병[사진=동영상캡쳐]

 

[시큐리티팩트=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안타깝게도 작전 종결 직전인 1996년11월 5일 오영안 준장(당시 대령)이 전사한 인제군 북면 용대리에서 인제지구 기동타격대장으로 출동한 서형원 소령도 전투중 무장공비의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에 따른 대침투 작전간에 전사한 12명의 전우들의 명단은 다음과 같다.  


‘오영안 준장(제3군단 303기무부대장, 3사4기), 서형원 소령(제3군단 제703특공연대 정보참모, 학군24기), 홍동진 대위(68사단소속, 10월10일 강릉, 학사21기), 이병희 상사(제3공수특전여단소속, 9월21일 강릉), 이동찬 하사(제702특공연대소속, 11월5일 홍천), 강민성 병장(12사단51연대 수색중대 소속, 11월5일 인제), 강정영 병장(11사단13연대 소속, 9월22일 강릉), 김대영 병장(27사단78연대 소속, 9월25일 강릉), 최태웅 병장(36사단소속, 11월4일 홍천), 한대성 병장(12사단소속, 9월 29일 인제), 송관종 상병(2사단노도부대 31연대 2대대 7중대 소속, 9월21일 강릉), 표종욱 상병(2사단노도부대 소속, 10월22일 양구)’  


이밖에 경찰·예비군 2명과 민간인 4명이 희생되었는데 민간인 안상영(50세, 남)은 9월23일 출입금지 지시를 어기고 매봉산에서 송이버섯 채취 중 공비로 오인해 쏜 국군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  


김용수(45세, 남), 이영모(54세, 남), 정우교(67세, 여)도 10월8일 오대산에서 송이버섯을 채취하던 중에 남성 2명은 공비의 총에 맞아 살해됐고 할머니는 둔기류로 머리를 맞은 뒤 목이 졸려 숨졌다. (다음편 계속)

 


태그

전체댓글 0

  • 8548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직업군인 사용설명서(466] 파란만장(波瀾萬丈)했던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⑦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