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7(수)
 
로.png▲ 해외석학들이 제기한 한국의 ‘AI 살인로봇’ 연구 해프닝은 KAIST가 방산업체와 협력하며 빚어진 오해인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기사중 특정사실과 무관함
 

‘AI 살인로봇’ 연구 해프닝은 KAIST가 방산업체와 협력하며 빚어진 오해

정부는 AI 연구에 투자하지 않아 관심 보인 한화시스템과 기초기술 협력

(안보팩트=안도남 기자)
 
지난 2월 20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한화시스템과 함께 ‘국방인공지능융합센터’를 만들고, 국방에 적용할 AI 기초기술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최근 이와 관련 세계적인 해프닝이 있었다. 인공지능(AI) 분야의 석학인 토비 월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가 3월 2일 신성철 KAIST 총장에게 이메일을 보내 “KAIST가 AI 살인로봇을 만드는 것이 사실인지 해명을 요구”한 것이다.

이에 제대로 답을 하지 않자 월시 교수는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에 제보했고, 이 단체는 3월 21일 주미 한국대사관을 통해 KAIST에 공식 해명을 요구했다. 또 4월 4일에는 29개국 인공지능·로봇 석학 57명의 서명을 받아 “KAIST와 공동연구 보이콧”을 선언했다.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KAIST는 보이콧에 참여한 57명 전원에게 총장 명의로 “국방인공지능융합센터는 AI 살인로봇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AI 기초기술을 개발하는 곳”이란 설명의 서한을 보냈다. 4월9일 석학 57명은 “KAIST의 해명을 받아들인다”면서 보이콧 선언을 철회하였고 상황은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외교부는 4월 13일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특정재래식무기금지협약(CCW) 회의에서 이번 해프닝의 경위를 설명할 예정이다. 

KAIST가 한화시스템과 협력한다는 얘기가 처음 나왔을 때, 학교 내에서도 일부 반대의 목소리가 있었다고 한다. 괜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주장이었고,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졌다. 그럼에도 KAIST가 왜 방산업체를 협력 대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까?

센터장을 맡은 김정호 교수는 “정부가 말만 앞세울 뿐 정작 AI 인력 양성과 연구에는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정부 예산을 지원받기 위해 관련 부처와 국회 등을 무수히 찾아다녔지만 허사였는데, 한화시스템은 단 한번 미팅에서 센터 지원을 결정했다면서 “개발한 기술의 국방 분야 활용은 전적으로 한화시스템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4367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KAIST가 방산업체인 한화시스템과 AI 연구를 협력하는 진짜 이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