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향신문, ‘기무사 참모장 세월호 TF서 활동’ 단독 보도로 기무사 관련 이슈 지속화 노려
일부 기자, 대변인에게 “해당 문건을 군 검찰이 외부로 유출시킨 것 아니냐”고 따지기도
장관이 ‘기무사 흔들기’에 앞장서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을 낳기도
(시큐리티팩트=김한경 총괄 에디터)
국방부가 특정 신문에 자료를 흘리거나 별도의 보도자료를 배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무사령부를 조직적으로 흔들려는 정황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먼저, 대표적인 진보성향 매체로 알려진 경향신문이 현 기무사 참모장(육군 소장)이 세월호 TF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단독으로 보도해 기무사 관련 이슈가 지속되도록 이른바 ‘군불 때기’를 하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경향신문은 6일 ‘[단독] 기무사 2인자 현 참모장도 세월호 TF서 활동했다’ 제하의 기사에서 “국방부에 따르면 ㄱ소장은 세월호 참사 발생 뒤 2014년 4월부터 약 6개월 동안 운영한 기무사의 세월호 TF 활동에 참여했다. ...ㄱ소장은 당시 영관급 장교였다”라고 보도했다.
즉, 경향신문은 단독으로 보도한 기사에서 ‘국방부에 따르면’이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국방부로부터 자료 또는 내용을 제공 받았다는 사실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한편, 지난 5일 국방부 정례 브리핑 시 모 방송매체 기자가 기무사 관련 문건이 통째로 특정 매체에 나간 사실을 인지하고 대변인에게 “수사자료에 해당하는 문건을 군 검찰이 유출시킨 것 아니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 대변인은 “확인하지 못했다” 또는 “답할 상황이 아니다”라는 말로 피해갔다. 하지만 지난 2일 국방 사이버댓글 사건 조사TF가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당일에도 ‘기무사 세월호 관여 문건 발견’을 별도의 보도자료로 배포하여 그 배경에 의구심을 갖게 했다.
또한 송영무 국방부장관은 지난 4일 해군장성 성폭행 사건 발생 때문에 열린 ‘긴급 공직기강 점검회의’에서 모두 발언 시 성폭행 사건이 아닌 기무사의 세월호 유족 사찰 얘기를 가장 먼저 꺼내면서 철저한 수사로 불법행위를 명백히 밝히겠다고 강조했다.
이 회의에는 군 검찰을 지휘하는 검찰단장도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회의 발언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사지침을 내린 것 아니냐”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했고, “장관이 기무사 흔들기에 앞장서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는 지적을 낳기도 했다.

ⓒ 시큐리티팩트 & securityfact.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