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09(월)
 
주변 4국 군사력.png
 
각국의 국방백서는 그 나라 국력의 상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한국과 주변국가의 국방정책과 전투력을 이해하는 데 기초가 됩니다. 한반도 정세를 논하는 국내·외의 모든 정·관·재·학계 인사들은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자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방백서를 안보뉴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보도한 경우는 없었습니다. 이에 시큐리티팩트가 현미경으로 보듯이 자세하게 국방백서를 분석해 제공하고자 합니다. 우리나라의 국방백서는 격년으로 발간됩니다. 따라서 2012년, 2014년, 2016년 등 가장 최근에 발간된 3개의 국방백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종합적인 시각을 구축해나가려고 합니다. <편집자 주>


(시큐리티팩트 = 강철군 안보전문기자)


제1장 안보환경의 변화와 도전의 목차 비교

구 분
‘12년 국방백서
‘14년 국방백서
‘16년 국방백서
1절 세계안보정세
1.국제적 안보위협
2.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1.미국 우위 국제질서와
지역 강국 부상
2.국지분쟁 발생
가능성 상존
3.초국가적 위협확산으로
안보불확실성 증대
4.다양한 안보위협대두
1.전통적 갈등요인에
따른 국지분쟁가능성
2.초국가적 위협확산으로 안보불확실성 증대
3.안보 위협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강화
2절 동북아 안보정세
1.지역안보정책
2.국방정책 및 군사동향
1.아시아 패러독스
현상 심화
2.협력과 경쟁의
미중관계
3.지역차원의 영향력
확대와 군비경쟁
1.지역내 국가간 협력과
갈등구조 지속
2.한반도 주변국의
영향력 확대와 군사력
현대화
3절 북한정세 및
군사위협
1.북한정세
2.군사전략 및
군사지휘구도
3.군사능력
1.북한정세
2.군사전략 및
군사지휘구도
3.군사능력
1.북한정세
2.군사전략 및
군사지휘구도
3.군사능력

3개년의 국방백서에 제시된 주변국 안보 정세를 분석해볼 때 목차 제목은 바뀌어 있었으나 내용은 대동소이하였다.

특히 당해년도의 정세와 군사력 현황만을 제시하여 전년도와의 변화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한 점이 눈에 띈다.
 
예를 들면 미국과 러시아 그리고 일본의 군사력은 2012년 보다 병력과 국방예산 면에서 축소되었으나 중국은 2012년 기준으로 병력은 228만 5천명, 국방비899억 달러였으나 2016년은 병력 233만3천명, 국방비는 1,458억 달러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음 국방 백서에는 최근의 현황과 비교하여 어느 분야가 강화되었는지를 분석하여 우리의 취약점을 보강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겠다. 

북 미사일 종류1.png▲ 북한의 미사일 종류
 
둘째, 제 3절의 세부항인 '1.북한의 정세'는 2014년에 비해 비교적 새롭게 잘 정리되어 있었다.

그러나 2016년 후반부터 김정은은 ICBM(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집중적으로 개발했고 특히 2017년에는 무려 23번의 크고 작은 미사일 발사 실험을 했고 금년은 미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제재로 인한 재정 궁핍을 탈피하기 위해 가상화폐 시스템까지 해킹하여 외화를 끌어드리고 있다.

다음 백서에는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을 이용한 그들의 선동 선전 전략을 포함하여 북한의 미사일 개발이 어디까지 왔는지와 해킹 등을 활용한 사이버 테러 수준을 좀더 정확히 분석하여 게재할 필요가 있다.

제목 없음.png▲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2016년 4월, 국방부 제공)
 

셋째, '2. 북한의 군사전략 및 군사지휘구조'에서는 2014년에 수록된 내용을 최신화하여 변경된 사항을 잘 게재하였다.

마찬가지로 크게 변경된 내용없이 대동소이하나 전략무기에 있어서는 2016년 새롭게 개발된 것들이 많으므로 2018년 백서에는 2016년 3월 이후 화성 -14형, 화성 -15형 미사일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타군의 무기체계에서도 신개발 무기나 노후 정도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목 없음1.png▲ 북한의 군사지휘기구도(2016년 국방백서 제공)
 

태그

전체댓글 0

  • 67361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현미경으로 본 2016 국방백서] ② 미국, 중국등 한반도 주변 강국의 군사력 변동 분석이 미흡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